박근혜 전 대통령이 국가정보원으로부터 특수활동비를 상납 받아 기치료·주사비용 등 개인용도로 사용한 혐의가 검찰 수사를 통해 드러난 가운데, 정청래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참 부끄럽다"고 꼬집었다.
정 전 의원은 4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대통령이 뭐 이래? 간첩 잡으라고 낸 국민의 세금을 자기 얼굴 고치고 옷 사입고 기치료하는 비용으로 쓰다니"라고 말했다.
이어 "이미 대통령 특수활동비도 연 120억 원이 책정돼 있거늘. 꼭 국정원 특수활동비 착복해서 써야 했나? 참 부끄러운 대통령이었다. 참 나쁜 대통령"이라고 지적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3부(부장 양석조)는 이날 박 전 대통령을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상 뇌물 및 국고손실 혐의로 추가 기소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박 전 대통령이 2013년 5월부터 2016년 9월까지 남재준·이병기·이병호 전 국정원장으로부터 매월 5000만~2억 원씩 총 36억 5000만 원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중 33억 원을 이재만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이 보관해 박 전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사용해 온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검찰 수사 결과, 33억 원 중 약 15억 원은 최순실 씨와 사용한 차명폰 요금과 삼성동 사저관리비용, 기치료·운동치료·주사비용 등으로 사용됐다고 보고 있다.
나머지 18억 원은 박 전 대통령 지시에 따라 이 전 비서관이 대통령 관저 내실에서 박 전 대통령에게 직접 전달했다. 이 중 일부는 다시 최순실 씨에게 전달돼 의상실 운영 비용 등으로 사용됐다.
또 2억 원은 2016년 9월 정호성 전 비서관이 이 전 비서관을 거치지 않고 박 전 대통령에게 전달했다. 나머지 1억 5000만 원은 박 전 대통령의 지시로 이병호 전 국정원이 이원종 전 청와대 대통령비서실장에게 매월 5000만 원씩 3차례 상납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검찰은 밝혔다.
검찰은 최순실 씨의 자필 메모를 통해 2013~2015년까지 문고리 3인방(정호성, 이재만, 안봉근)에 총 3억 7000만 원의 명절비, 휴가비 등을 지급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 메모에는 영문 이니셜이 작성돼 있었다. BH라는 문구 옆에 J(정호성), Lee(이재만), An(안봉근)을 뜻하는 이니셜과 함께 지급 액수 내역이 적혀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