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전 대통령이 자신을 향한 검찰 수사와 관련 노무현 전 대통령의 죽음을 직접 거론한 데 대해 문재인 대통령이 ‘분노’의 뜻을 밝힌 가운데, 친이(親이명박)계로 분류되는 조해진 전 새누리당 의원이 문 대통령의 분노를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조 전 의원은 18일 CBS라디오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와 인터뷰에서 “이명박 전 대통령 기자회견을 다 지켜보셨겠지만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해 비판·비난하거나 모욕을 주는 발언은 하나도 없었다”고 밝혔다.
조 전 의원은 “검찰의 수사문제를 지적하면서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에 대한 보복으로 이렇게 한다라고 이야기 했을 뿐이다”라며 “노무현 전 대통령이라는 이름 자체를 입에 올리는 것 자체가 불경하다는 뜻은 아닐 텐데, 어떤 부분에서 분노를 느꼈다는 지 이해가 안 된다”고 말했다.
이어 “‘청와대가 현재 사법 체계를 지휘하고 있다’는 그런 부분에 분노를 느낀다고 하셨는데, 현실을 똑바로 보셔야 한다고 본다”며 “지금 사실 하명수사하고 있는 것 아닌가”라고 밝혔다.
조 전 의원은 “검찰에서 검찰 중앙지검의 거의 절반가량이 투입돼, 팀 숫자만 하더라도 헤아릴 수 없는 TF들이 나서서 (수사를)하고 있다”며 “권력을 쥔 청와대 캐비닛에서 나온 거 가지고 (검찰에)다 던져준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각 부처마다 청와대 문서로 TF를 만들라 해서 다 뒤진 다음 검찰에 넘기고 있다. 그러면 검찰은 이건 청와대에서 내리는 오더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며 “그런 수사를 하게 만들면서 우리가 마치 청와대가 검찰을 좌지우지 하는 것처럼 말한데 대해 분노를 느낀다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조 전 의원은 “많은 국민들이 이렇게 하는 것이 과연 나라에 이로운가, 또 현 정부에 이로운가를 고민하고 걱정하고 있다는 것을 청와대나 문 대통령께서도 직시하셨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이 전 대통령이 직접 기자회견을 열고 입장을 밝힌 배경과 관련해서는 “본인을 향한 정치보복 수사가 이제는 선을 넘어 본인을 모셨던 여러 사람들이 다치는 상황까지 가게 되니 당신이 직접 나서 막지 않으면 안 되겠다는 생각을 하신 것 같다”고 전했다.
이어 “검찰이 진술이나 정황 또는 언론플레이 등을 통해 사실처럼 몰아가면서 본인에게 덧 씌워 위법행위를 기정사실화해 단죄하려고 하는 부분에 대해서 더 이상 그냥 둬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을 하신 것 같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의 입장발표 이후 이 전 대통령 측 인사들이 “우리라고 아는 것이 없겠느냐”냐며 반문한 것과 관련해 노무현 정부 시절 국정원 특수활동비 자료를 가지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저는 그 당시 청와대 근무하지 않았고, 최근 이른 사태에 대해 삼성동 사무실 회의에 참석하지 않아 잘 모른다”고 답했다.
다만 그는 “그렇지만 제 상식으로 노무현 정부 시절 국정원장, 차장 등을 지낸 분들이 어떤 일을 했을까 생각해 볼 때 그쪽을 성역으로 둘게 아니라 한번 (수사를)해야 한다고 본다”며 “고발이 없으면 내사를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정치권에서도 계속 수사를 촉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혜란 동아닷컴 기자 lastleast@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