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정당과의 통합에 반대해온 국민의당 의원들이 민주평화당이라는 이름으로 6일 창당대회를 여는 가운데, 통합반대파지만 당적을 바꾸기기 어려운 상황인 이상돈 의원(비례대표)은 당적은 그대로 두고 민주평화당에서 주요 보직을 맡을 수 있다는 뜻을 밝혔다. 비례대표 의원인 이 의원은 출당이 안 돼 탈당을 선택하면 의원직을 잃는다.
이 의원은 이날 YTN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국민의당엔)그냥 무늬만 있는 건데 거기서 출당 안 하겠다면 그대로 가는 거다. 뭐 그렇게 개의할 것 없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이번에 민주평화당에 당헌 당규 만들 때 ‘당원이 아닌 사람도 당직을 할 수 있다’는 사항을 넣었다. 그런 데에서 제 의사하고 관계없이 비례대표 의원 세 명은 중요한 당직을 해야 하는 게 아니냐, 그런 여론이 많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도 ‘오늘 창당대회에 가시냐?’는 질문에 “당연히 간다”며 “내 행동을 누가 통제하냐? 국회에서는 다 헌법기관이고. 정 기분 나쁘면 제명을 시키면 될 거 아니냐. 제명도 못 시키는 분들이 뭐라고 말할 자격이 있냐? 얼마나 쪼잔하고 비겁한 일이냐. 창피한 일이다”고 비난했다.
그는 ‘추후에도 출당조치가 없을 경우 어쩌겠느냐’는 질문에 “기대하기는 지방선거 전까지 해결이 됐으면 하고 기대하지만 그건 자기들이 하기 싫다면 그만이다. 어떻게 하겠나?”라고 답했다.
이 의원은 또 민주평화당이라는 이름도 자신이 추천했다는 비화를 밝히며 ‘미래당’이라는 통합당의 이름에 대해 힐난했다.
이 의원은 “(민주평화당 이름을 지을 때)제가 ‘미래, 개혁, 민생 이런 단어는 어느 정당의 아젠다 또는 정당 정책은 되어도 당명으로는 부적절하다. 대개 그런 단어를 둔 정당은 그냥 포말정당, 비눗방울처럼 한번 커졌다 없어지더라. 그리고 민주라는 단어를 넣어야 민주주의라는 민주당이라는 큰 흐름에 서있다고 보인다’ 이런 주장을 좀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박근혜 전 대통령이 탈당해서 미래당 만들었다가 초라하게 문 닫지 않았냐. 박 전 대통령이 굉장히 후회했던 일이다. 그런 것을 연상시켰다”며 “미래당을 쓰는 경우가 전 세계 중에 별로 없다. 영어로 하면 ‘Party of Future' 인데, 이게 무슨 놈의 말인가 그럴 것이다”고 덧붙였다.
한편, 바른정당과의 통합에 반대해온 국민의당 의원 15명(천정배, 박지원, 정동영, 조배숙, 유성엽, 장병완, 황주홍, 김광수, 김경진, 김종회, 박준영, 윤영일, 이용주, 정인화, 최경환)은 민주평화당이라는 이름으로 이날 안철수 대표와 완전한 결별을 알리는 창당대회를 연다. 당적을 바꾸면 의원직을 상실하기 때문에 탈당이 어려운 이상돈ㆍ장정숙ㆍ박주현 의원 등 비례대표 의원들까지 합치면 총 18석이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