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남북정상회담 4월 27일 환영”…한국당 “‘북핵 폐기’ 초점 맞춰야”

  • 동아닷컴
  • 입력 2018년 3월 29일 19시 23분


더불어민주당은 29일 남북이 오는 4월 27일 판문점 남측지역 평화의 집에서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하기로 합의한 것과 관련, “환영한다”면서 “정부는 온 민족이 염원하는 한반도 평화 정착의 실질적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남북정상회담을 더욱 철저하게 준비하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제1 야당인 자유한국당은 “이번 정상회담은 오로지 북핵 폐기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민주당 강훈식 원내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오늘 남북고위급회담에서는 남북정상회담을 4월 27일 판문점 남측지역 평화의 집에서 개최하기로 합의했다”면서 “이번 남북정상회담이 실현되면, 남북 분단 이후 북의 정상이 남한의 땅을 밟는 첫 번째 역사가 될 것이다. 한반도 긴장이 최고점에 달한 지난해만해도 상상조차 어려웠던 일이 현실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문재인 정부가 한반도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겠다는 원칙을 가지고, 미국 등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주도한 결과”라며 “정부는 온 민족이 염원하는 한반도 평화 정착의 실질적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남북정상회담을 더욱 철저하게 준비하기 바란다. 이번 남북정상회담이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매우 중요한 회담이라는 점에서 야당도 이념과 정쟁의 시각으로만 바라볼 것이 아니라, 성공적 개최를 위한 지혜를 모으는데 적극 협조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국당은 정태옥 대변인 명의의 논평을 통해 “이번 정상회담은 오로지 북핵 폐기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따라서 어설픈 남북화해나 남북교류와 같은 부수적인 것으로 인해 북핵 폐기라는 본질이 흐려지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면서 “북한이 대화에 나서는 가장 큰 이유는 긴밀한 한미공조를 바탕으로 해서 국제적인 북핵 폐기에 대한 제재와 압박, 한미연합훈련, 미국 전략자산 전개에 따른 북 김정은의 위기감에 따르는 것이다. 따라서 북핵 폐기가 결정되기 전까지는 회담의 성공을 담보하기 위해서라도 어떤 경우에도 남북대화를 빌미로 해서 대북압박과 제재가 완화되어서는 안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남북 교류와 대화는 철저하게 한미 공조를 바탕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북과의 대화내용과 미국에 대한 설명에 차이가 있어 동맹국간에 불신이 쌓여서 더욱 큰 화를 자초할 가능성이 있으니, 철저하게 한미동맹의 긴밀한 협의 하에 대화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라며 “회담의 성과나 상황을 낙관하거나 너무 떠들썩하게 과장하여, 중국이 불쑥 끼어드는 것과 같이 주변강국을 불필요하게 자극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바른미래당은 권성주 대변인 명의로 “북한의 실질적 변화를 위한 균형있는 대화와 제재가 병행되어야 한다”면서 “바른미래당은 이번 남북정상회담 그리고 이어서 열릴 북미정상회담이 북핵폐기와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성공적인 회담이 되기를 기원한다. 그러나 회담은 북핵문제 해결과 평화를 위한 과정이지 그 자체가 목적은 될 수 없다. 북핵위기를 극복할 것으로 보였던 지난 94년 제네바 합의도 결국 북핵개발을 막지 못했다는 것을 교훈삼아 섣부른 평화주의로 안보 공백과 더 큰 위협을 만드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될 것이다. 핵 폐기를 위한 북한의 실질적 행동과 변화 없이는 압박과 제재 또한 계속된다는 대원칙을 유지하여 한반도 평화를 이룰 수 있길 바란다”고 밝혔다.

정의당은 최석 대변인의 브리핑을 통해 “봄과 함께 꽁꽁 얼어붙었던 한반도의 긴장이 완화되고 있는 지금, 남북정상회담을 통해 정전을 넘은 종전으로 한반도 항구적 평화체제를 안착시킬 수 있는 기회가 한층 더 가까워졌다. 더욱이 이번 남북정상회담은 남측 지역에서 진행되어 더 큰 의미를 지닌다. 휴전 이후 최초로 북한 최고 지도자가 남한 땅을 밟는 것이기 때문”이라며 “그렇기에 정부가 이번 남북정상회담을 반드시 성공적으로 개최해 향후 성공적인 남북미 정상회담까지 이끌어내며, 한반도의 평화를 전세계적 평화로 이어나가기를 기대한다. 이를 위해 국회는 당을 떠나 모두 한 마음으로 힘을 모아 협력해야한다. 아울러 정의당 역시 ‘평화’를 최우선의 가치로 두고 성공적인 남북정상회담 개최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밝혔다.

정봉오 동아닷컴 기자 bong087@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