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기금의 지속가능성을 전망하는데 쓰이는 정부의 ‘재정추계’를 신뢰하기 어렵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정부의 추계와 실제 결과가 매번 달랐기 때문이다. 향후 70년 간 국민연금의 장기적인 추이를 전망하는 재정추계는 2003년부터 5년마다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재정추계위원회에서 발표한다.
15일 비정부기구(NGO)인 한국납세자연맹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정보공개 청구를 통해 입수한 ‘3차 재정추계 관련 자료’에 따르면 3차 재정추계에서 정부가 전망한 2013~2017년 투자수익률 평균 가정치는 6.534%였다. 하지만 실제 투자수익률은 5.204%로 1.33%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국민연금공단 국정감사자료와 감사원의 감사결과 보고서의 분석에 따르면 기금투자수익률이 예상보다 1.5% 떨어질 경우 기금고갈이 2060년에서 2053년으로 7년 앞당겨진다. 그만큼 정확한 추계가 필요한 것이다.
투자수익률과 함께 국민연금 고갈시기를 결정하는 주요변수인 합계출산율과 경제성장률도 정부의 예측은 빗나갔다. 3차 재정추계 당시 정부는 5년 평균(2013~2017년) 합계출산율이 1.28명이 될 것으로 내다봤지만 실제로는 1.172명으로 0.11%포인트 차이가 났다. 경제성장률도 정부는 5년 평균 4.12%로 낙관한 반면 실제로는 2.98%에 그쳤다.
연맹은 “지난 5년간 출산율, 투자수익률, 경제성장률의 가정치가 실제보다 좋게 나온 적이 한 번도 없었다”며 “이 수치들이 떨어지면 예상보다 빠르게 기금이 소진되는데도 정부가 의도적으로 낙관적인 가정을 한 것이 아닌지 의심이 된다”고 밝혔다. 국민연금 기금고갈 시기가 2060년에서 2057년으로 3년 앞당겨진다는 4차 재정추계결과도 신뢰할 수 없다는 게 연맹의 입장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