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한미동맹 균열 심각’ 보고서, 靑과 무관…출처 파악 중”

  • 뉴스1
  • 입력 2018년 11월 26일 14시 10분


“내용·형식 모두 무관…안보실서 만든 것 아냐”
“문서 보도 언론사서 출처 밝혀주시길 바란다”

청와대 전경. /뉴스1 © News1
청와대 전경. /뉴스1 © News1
한반도 비핵화 과정에서 한국에 대한 미국의 우려와 불신이 증가하고 있다는 문건에 대해 청와대는 26일 청와대, 국가안보실과 무관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문서를 만든 사람과 유포 과정 등 출처를 파악 중이라고 강조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후 기자들에게 보낸 문자메시지를 통해 “아시아경제에 난 문건은 청와대 안보실에서 만든 게 아니다”라며 “내용이나 형식 모두 청와대와 무관하다”고 밝혔다.

이후 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춘추관을 찾아 “청와대에서 어떤 형식이든 문서를 만들면 ‘이 문서는 무단으로 복사·반출할 수 없다’는 내용과 ‘리퍼블릭 오브 코리아’ 워터마크가 찍히고, 마지막에 문서를 출력한 사람의 이름과 시간이 초 단위까지 나오도록 돼 있다”고 설명했다.

김 대변인은 이어 “복사를 해도 워터마크가 그대로 찍힌다. 그런 점에서 (해당 문서는) 청와대 문서가 아니다. 안보실에서 작성한 게 아니다”라고 거듭 해명했다.

그러면서 “누가 이런 문서를 만들어서 유포했는지 출처를 파악 중에 있다. 가능한 조처를 다 취할 생각”이라며 “이 문서를 보도한 언론사에서 (이 문서가) 어디에서 만들어졌는지 출처를 밝혀달라”고 강조했다.

청와대는 보도 문건에 워터마크가 없는 점, 작성자가 기재되지 않은 점을 들어 이 문건이 청와대에서 작성된 것이 아니라고 밝혔다.

또한 청와대 내부에서 생산되는 문건의 경우 파일에 암호가 걸려있어 유출되더라도 암호가 풀리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청와대는 외부 기관에 자문을 구한 적이 없으며, 안보실에서 이러한 문건을 생산한 적 자체가 없다는 결론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아시아경제는 이날 청와대 국가안보실의 ‘한반도 및 동북아 정세 평가와 전망’ 보고서를 입수했다고 보도했다. 보고서는 A4용지 9쪽 분량의 5000여자라고 밝혔다.

이 언론은 보고서가 Δ현 상황에 대한 총평 및 주요 이슈 Δ동북아정세와 북핵 및 한반도 문제 Δ주요 정책적 이슈 등 세 부분으로 한반도 정세를 분석했으며 내부 보고용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이 보고서에는 ‘한국이 왜 종전선언을 서두르는지에 대한 (미국 내) 의혹이 증가하고 있다. 단순히 정치적인 의미라고 하면서 왜 종전선언에 집착하는지를 이해하지 못한다’고 분석이 담겼다.

또 ‘(미국의 생각은) 의문·의혹→믿어보자·지켜보자→우려→불신 등 (한국 정부가) 미국과는 다른 길을 가려고 한다는 생각’이라며 ‘한국의 (대북)제재 약화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어 불만이 증가하고, 한국이 중국과 더불어 제재의 가장 약한 고리라는 인식이 확산됐다’고 적혀있다고 보도했다.

아울러 이 언론은 국가안보실이 미국이 남북 간 군비통제와 신뢰구축조치에 대한 충분한 사전 협의와 합의가 없었다는 점에서 불만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보고서에는 국가안보실이 현재 한반도 비핵화 국면에 대해 ‘주변국 간 동상이몽’이라면서 ‘대화 분위기로 전환됐으나 가변성이 높은 상태’라고 진단했다고 보도했다.

이밖에 ‘한미 간 해법에 대한 이견이 부각되고 있으며 한국에 대한 미국의 불신과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실질적으로 미국은 압박과 제재에만 집중하여 관여에 대한 부분에는 구상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고 전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