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찬 민주당 대표 취임 100일… 메시지 102건 분석해보니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12월 3일 03시 00분


정부보다 黨 언급 2배… ‘강한 與’ 중시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는 8월 25일 전당대회에서 집권 여당 수장으로 선출된 뒤, 취임 일성으로 ‘강한 여당’을 강조했다. 여당이 제 목소리를 내야 할 때라는 의미였다. 동아일보가 2일 이 대표 취임 100일을 맞아 그의 각종 회의 모두발언, 연설문 등 메시지 102건의 문장 속 의미를 ‘텍스트 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한 결과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우선, 여당과 국회가 국정의 중심이어야 한다는 이 대표의 의지는 100일간의 메시지에서도 두드러졌다. ‘당(여당, 민주당)’과 ‘국회’ 관련 키워드는 이 대표의 메시지에서 각각 2번째(233회)와 4번째(119회)로 자주 언급됐다. ‘정부’ 관련 언급은 112차례로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는 같은 기간 문재인 대통령의 공개 발언을 ‘텍스트 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한 결과 ‘국회’(42회·10위)보다는 ‘정부’(111회·3위)를 더 자주 거론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실제로 이 대표는 상임위별 당정청협의회를 월 1회로 정례화하는 등 이전보다 대등한 당청 관계 정립에 공을 들이고 있다. 서울대 한규섭 교수(언론정보학)는 “대통령 지지율이 떨어지고, 자유한국당이 서서히 지지를 회복할수록 이 대표가 강조하는 당청관계는 더 중요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과 이 대표가 공통적으로 가장 자주 언급한 키워드는 ‘남북관계’로 각각 285회, 337회였다. 하지만 문 대통령은 ‘남북관계’ 다음으로 ‘비핵화’(124회)를 자주 거론했는데, 이 대표는 ‘민족’(35회·11위)을 ‘비핵화’(28회·12위)보다 더 자주 언급했다. 이는 이 대표가 비핵화 등 안보 이슈보다는 평양에서 열린 ‘10·4선언 11주년 남북공동 기념식’ 참석 등 남북교류에 주력한 것과 무관치 않다.

경제 분야에서도 문 대통령과 이 대표의 세부 관심사는 다소 차이가 났다. 문 대통령은 주로 고용 문제, ‘일자리’(64회·7위)에 집중한 반면 이 대표는 ‘노동’(100회·6위) 문제를 자주 꺼냈다. 조진만 덕성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당 대표로서 노동, 부동산 공급정책, 공공기관 이전 등을 이슈화하며 청와대와 차별화한 것은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이 대표는 야당이나 기업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덜 언급했다. 이 대표의 주요 키워드 중 ‘야당’(19회)은 19번째였고 ‘기업’은 아예 20위권 밖이었다.

유근형 기자 noel@donga.com
#이해찬#더불어민주당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2

추천 많은 댓글

  • 2018-12-03 11:01:55

    한번 해서 나라 말아 먹겠냐 20 년해야 나라 완전 히 말아먹지.

  • 2018-12-03 09:25:49

    반란경상도놈들이 쿠데타정권에 부역하며 끼리끼리 쳐먹을때 당시 대학생들과 일부 양심인사들은 대한민국의 민주화를 위해 열심히 공부했고 치열하게 싸웠다 너희 경상도놈들이 지금 반정부활동하며 대낮에 거리를 활보할수 있는 이유도 그당시의 민주화운동때문임을 잊지말라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