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 일정이 6일에도 여전히 불투명한 가운데 이낙연 국무총리는 “현재로서는 (답방 성사 또는 불발) 그 어느 쪽의 사인도 감지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전날(5일) 세종총리공관에서 출입기자단 만찬을 주재하고 “시기가 구체적으로 못 박힌 합의는 원래 없었고 ‘가급적 연내’라는 해석을 양해했던 것”이라며 이렇게 밝혔다.
이 총리는 “그것이 그대로 이행될 것인지, 아니면 어떻게 될 것인지 어느 쪽도 아직은 제가 답변할 만한 자료를 갖고 있지 못하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의 답방에 대비한 정부의 준비를 묻는 말에는 “가능성 열어놓고 있기 때문에 플랜1, 플랜2 등의 것은 있을 것”이라며 “부처는 부처다운 일을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이 답방 결단을 내리고 1주일 내 오더라도 준비는 다 된 것 아니냐’는 물음에는 “가정을 가지고 얘기하는 것은 이상하다”며 “여하튼 보자”고 답했다.
아울러 이 총리는 내년도 남북협력과 관련해 “논란이 생기지 않는 분야부터 해결해 가는 것이 현명하고 현실적”이라며 “이를테면 문화체육 교류나 이산가족 상봉, 특히 군사적 긴장완화 등은 제재와 무관하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군사적 긴장 완화조치가 훨씬 가시적으로 결과가 금방 나온다”며 “군사적 긴장 완화조치가 앞으로 우리가 가야 할 길을 좀 더 안정적으로 하는데 좋은 토대를 만드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강제징용 판결에 따른 정부의 향후 대책과 관련해서는 “몇 가지 사항을 확실하게 점검하고 또 그러한 전제 위에서 큰 그림이 그려져야 다음에 뭔가를 수면 위로 올릴 수 있을 것”이라며 “생각할수록 미리 점검해야 할 일들이 많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무엇을 하든 간에 아무런 예상도 없이 얼른 토의부터 시작하자는 것은 안 된다”며 “그것은 일본 측에도 비공식적으로 설명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내 현안인 ‘광주형 일자리’와 관련해서는 “꼭 성공했으면 좋겠다”며 “지금 경남을 비롯해 몇 개 지방에서 신청하는데, 광주형 일자리가 확산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문재인정부와 노동계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충분히 존중하고 노동자를 중시하는 사회로 가야 한다”면서도 “그러나 불법까지 눈 감자고 해서는 안 되는 것 아니냐. 노동계도 이해해주길 바란다”고 요청했다.
이날 이 총리는 올 한해 가장 큰 성과로는 ‘평화 분위기 조성’을 꼽았고, 가장 아쉬운 점으로는 ‘서민생활의 어려움’을 언급했다. 이 총리는 “북한이 마지막으로 미사일을 쏜지 1년가량 됐다”며 “그런 도발이 없어진 것을 마치 당연한 것으로 보는데 사실 큰 변화”라고 강조했다.
다만 “아쉬운 것은 서민생활의 어려움이 해결되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오히려 가중되고 있다는 점이고 가장 뼈아픈 것 또한 그것”이라며 “소득분배가 개선되지 못하고 악화되는 것은 문재인정부로서는 대단히 뼈아프다”고 했다.
이어 이 총리는 “내년에는 우리 사회가 미래지향적으로 나가자는 국민의 합의와 정부의 노력이 합쳐졌으면 좋겠다”며 “그걸 통해 경제 활력을 찾는 한해가 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