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중진 송영길 의원(4선)과 우원식 의원(3선)이 탈원전으로 상징되는 문재인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을 두고 설전을 펼쳤다. 여당 중진 의원끼리 탈원전 정책을 두고 공개적으로 논쟁을 벌인 것은 처음이다.
송 의원은 11일 한국원자력산업회의가 개최한 원자력계 신년인사회에서 “문재인 정부 들어 탈원전을 하다 보니 원자력업계가 여러 가지로 힘이 빠지고 있는 것을 알고 있다”면서 “원전 정책이 바로 탈원전으로 가기는 어렵고 장기적으로 소프트랜딩(연착륙)해야 하는 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송 의원은 “노후 원전과 화력 발전을 중단하고 신한울 3ㆍ4호기와 스와프(교환)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송 의원 측 관계자는 “우발적인 발언이라기 보다는, 원자력보다는 화력이 더 나쁘다는 평소 소신을 밝힌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우 의원은 12일 페이스북을 통해 “시대의 변화를 잘못 읽은 적절치 못한 발언”이라고 정면으로 비판했다. 여당 의원들이 정부 정책을 두고 공개 설전을 벌인 것은 매우 드문 일이다. 우 의원은 “당 기후변화대응 및 에너지전환산업육성특위 위원장으로서 매우 유감”이라며 “노후 화력발전소가 문제이니 다시 원전으로 가자는 것은 시대의 흐름을 전혀 읽지 못하는 주장”이라고 지적했다.
우 의원은 송 의원의 논리를 조목조목 반박했다. 우 의원은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에너지 전환은 전혀 급진적이지 않다. 연착륙해야 한다는 송 의원 발언에 동의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2017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의 신규발전설비 투자 중 73.2%가 재생에너지에 투자되고 있고 원전은 고작 4.2%에 불과하다”며 “원전과 화력발전에 의지하는 에너지쇄국정책은 우리 산업을 위기로 몰아넣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전임 원내대표를 지낸 우 의원과 잠재적 대권주자로 평가받는 송 의원의 논쟁에 당 지도부도 촌각을 곤두세웠다. 이해찬 민주당 대표는 13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공론화 과정을 거쳐서 결정된 사안인 만큼 신중해야 한다”면서도 “보완이 필요한 것은 보완하는 논의 과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