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원형보존 ‘동해안 GP’ 문화재 등록 추진…“2월 현장 답사”

  • 뉴시스
  • 입력 2019년 1월 17일 11시 55분


정부가 시범철수 GP(최전방 감시초소) 중 원형을 보존하기로 한 ‘동해안 GP’를 문화재로 등록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앞서 남북은 시범 철수하기로 한 11개 GP 중 역사·문화적 가치가 큰 GP 1개를 각각 원형 보존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군 관계자는 17일 “문화재청이 비무장지대(DMZ) 내 GP를 문화재로 등록하기 위해 현지 조사를 2월 중에 실시하겠다는 협조 공문을 육군에 보내왔다”며 “육군과 문화재청이 구체적인 일정을 조율 중”이라고 밝혔다.

육군은 구체적인 일정 조율이 완료되면 유엔군사령부와 협의해 출입 조치를 할 계획이다.

출입이 승인되면 문화재청 근대문화재과 직원 4명과 문화재위원회 근대문화재분과 위원 3명 등 7명은 다음 달 동해안 GP를 방문해 현장 답사를 할 예정이다.

동해안 GP가 문화재 가치가 높다고 판단되면 ‘등록문화재’로 지정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정치권에서도 GP 보존과 잔여물 활용 방안 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오가는 만큼 문화재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다.

최현수 국방부 대변인은 “GP 철거 잔해물을 평화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양한 안들이 정부 차원에서 논의되고 있다”며 “아직 구체적으로 결정된 것은 없다”고 밝혔다.

이번에 원형을 보존하기로 한 GP는 1953년 정전협정 체결 직후 최초 설치된 강원 고성군에 위치한 동해안 GP로 과거 ‘369GP’로도 불렸다. 북측 GP와 580m 거리에 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