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수소차·연료전지 세계점유율 1위 목표”
“수소경제, 정부의지 확고…기회의 문 열 것”
문재인 대통령이 17일 울산광역시청에서 열린 수소경제 전략보고회 ‘수소경제와 미래에너지, 울산에서 시작됩니다’에 참석해 수소전기차 전시부스를 살펴보고 있다.(울산시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올해 첫 지역경제투어의 일환으로 울산광역시를 방문해 수소경제에 대한 정부 의지를 재확인하고 수소경제 로드맵을 발표했다.
문 대통령은 17일 오전 4번째 전국경제투어의 일환으로 울산시를 방문, ‘수소경제로드맵’을 발표한 자리에서 “수소경제를 위한 우리 정부의 의지는 확고하다”라며 “수소경제는 또다시 우리에게 기회의 문을 열어줄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우리로서는 국가 에너지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바꾸면서 신성장동력을 마련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며 “우리는 울산을 비롯한 대규모 석유화학 단지에서, 수소차 확산에 필요한 부생수소를 충분히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이미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전국적인 천연가스 배관도 우리가 가진 강점, 총연장 5000여㎞의 천연가스 공급망을 활용한다면 천연가스에서 경제적으로 수소를 추출해 각지에 공급할 수도 있다”라며 “수소경제 로드맵은 이러한 강점을 바탕으로 세계 선도국가로 도약하고자 하는 청사진”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2030년 수소차와 연료전지에서 모두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라며 “그 중심에 울산이 있다”고 부연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지금까지 누적 1조원 수준인 수소경제 효과는 2022년 16조원, 2030년 25조원으로 규모가 커지고, 고용유발 인원은 지금까지 1만 명 수준에서 2022년 10만 명, 2030년 20만 명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문 대통령은 “수소라고 하면 수소폭탄을 연상해 위험하게 여기는 분이 많은데, 알고 보면 그렇지 않다”라며 “프랑스 파리 도심 한가운데 수소 충전소가 있었고 파리 시민들은 셀프충전을 할 만큼 안전하게 여기고 있다. 청와대도 업무용 차량으로 수소차를 구입해 사용 중”이라고 소개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행사 시작 전 수소경제관련 부스를 둘러보며 현대차 관계자의 설명을 듣다, “뭐 요즘 현대차, 특히 수소차 부분은 내가 아주 홍보 모델이에요”이라는 ‘농담’을 건네기도 했다. 수소차에 대한 문 대통령의 적극 지원 의지를 나타낸 것이라는 해석이다.
문 대통령의 이번 울산방문은 수소경제 로드맵과 울산의 미래 에너지 전략 발표를 통해 혁신성장을 선도하고 울산의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의미도 담았다.
문 대통령은 “앞으로 빠르게 확산될 수소경제 시대는 바로 이곳 울산의 기회, 울산은 세계적인 수소경제 선도 도시가 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고 있다”라며 “울산이 성공하면, 대한민국도 성공한다. 산업수도 울산, 성공 DNA를 보유한 울산이 경제 성장판을 다시 열어주시기 바란다”고 맺었다.
이 자리에서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수소경제 로드맵 보고를 통해 세계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한국의 수소기술을 육성해 수소경제로 대한민국의 미래먹거리를 창출하기 위한 정부 계획을 발표했다.
송철호 울산광역시장은 ‘에너지 허브도시 육성전략’을 통해 동북아 오일 및 가스 허브로서의 울산 비전을 제시했다.
전략보고회에서는 울산광역시와 현대자동차, SK가스, S-OIL, 두산, 효성중공업 등 14개 기관이 고용-투자 협약을 체결했다. 전략보고회에는 산업부, 과기부, 환경부, 중기부 장관과 송철호 울산시장,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 등이 참석했고 청와대에서는 정책실장, 정무수석, 경제수석 등이 참석했다.
문 대통령은 비전선포식 이후 전국 최대의 수소를 생산하고 있는 ㈜덕양 3공장을 방문해 수소경제의 핵심인 수소에너지 생산 현장의 직원들을 격려하고 기념사진도 찍었다.
이어 문 대통령은 지역경제인과 오찬을 함께 하고 울산 외고산의 옹기마을을 찾아 국민들과의 소통행보도 이어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