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철 설화에 靑 곤혹…“거취까지 고민할 사안은 아냐”

  • 뉴시스
  • 입력 2019년 1월 29일 17시 17분


해명과 사과 이후에도 김현철 대통령 경제보좌관의 발언 논란이 수그러들지 않자 청와대도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는 분위기다. 경질론까지 주장하는 야4당의 공세에 난감해 하는 기색이 역력히 감지된다.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29일 국회 원내대책회의에서 “김 보좌관이 국민들에게 큰 상처를 안겼다”며 “정중히 사과하고 그 자리에서 물러남이 마땅하다”고 사퇴를 촉구했다.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는 원내대책회의에서 “과거 정권과 다르지 않은 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 무능 때문에 부메랑이 돼서 다시 돌아온 것”이라며 “우리 국민과 청년들에게 심한 상처를 남긴 김 보좌관에 대해 문재인 대통령은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경질을 요구했다.

박지원 민주평화당 의원도 이날 MBC라디오 ‘심인보의 시선집중’ 인터뷰에서 “청와대가 잔인한 결정을 하는 것이 나머지 3년을 성공하는 길”이라며 김 보좌관의 교체 목소리에 힘을 보탰다.

청와대에서는 이날 오전 현안점검회의에서 김 보좌관의 발언에 대한 여론의 반응과 향후 대응 방안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어제 김 보좌관 건과 관련해서 오늘 아침에 보고가 있었다”면서 “본인이 직접 사과를 하셨던 만큼, 그것으로 정리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김 보좌관 발언이 오해를 살 만한 부적절한 발언이었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직접 사과를 한 것으로 일단락 짓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야당이 주장하고 있는 것처럼 김 보좌관의 거취를 고민할 사안은 아니라는 것이다.

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지금은 다른 대응 방법이 있을 수 없다”면서 “굳이 야당 공세에 맞대응을 해서 계속 이 문제를 회자시킬 이유가 없다. 비판은 감수하고 가야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논란의 당사자였던 김 보좌관은 이날 오전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 주재 현안점검회의에 참석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의 경제 관련 행사에도 동행하지 않는 등 눈에 띄는 것을 자제하는 모습이다.

공연히 공개석상에 모습을 드러냈다가는 자신에게 관심이 집중되는 것을 사전에 피하겠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읽힌다.

김 보좌관은 전날 기업인 조찬 강연에서 “지금 50~60대는 할 일 없다고 산에 가거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험악한 댓글만 달지 말고 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ASEAN)으로 가야한다”고 말했다.

또 “젊은이들은 여기(한국)에 앉아서 취직 안 된다고 ‘헬조선’이라고 하지 말고, 신남방 국가를 가면 ‘해피 조선’”이라고 발언, 청년실업자와 은퇴세대의 아픔을 공감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아울러 박근혜 전 대통령의 2015년 ‘중동 발언’을 연상케 한다는 지적과 함께 정부 경제정책에 책임 있는 자리에 있는 김 보좌관의 인식이 안일한 것 아니냐는 비판도 함께 제기됐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