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3말4초’ 서울 답방설, 북미회담 결과에 달려

  • 뉴스1
  • 입력 2019년 2월 8일 08시 01분


평양선언보다 진일보한 합의 내놓을 여건 필요
금강산관광·개성공단 재개, 인도적 협력에 영향

© News1
© News1
북미가 오는 27~28일 제2차 정상회담을 공식화하고 회담 준비에 박차를 가하면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에도 관심이 쏠린다.

문재인 대통령은 설 연휴 마지막 날인 6일 청와대 참모진과 점심으로 떡국 대신 평양식 온반을 먹었다. 김정숙 여사는 “평양에서 오실 손님도 생각해 온반을 준비했다”고 말했다고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지난해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무산된 데는 북미 비핵화·평화체제 협상이 잘 풀리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남북이 교류·협력을 확장할 여지가 많지 않고, 남한 국민들의 환영을 기대하기도 어렵다는 판단이 작용했을 것이란 분석이 많았다.

협상 교착의 돌파구로 서울 답방을 활용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경호 부담에 더해 ‘정치적 부담’까지 감수해야 하기 때문에, 한반도 정세가 순항할 때 답방을 하는 것이 여러 측면에서 더 낫다고 판단했으리란 것이다.

이런 가운데 올해 들어 김정은 위원장의 신년사와 북미 정상 간 친서 교환,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이 이끄는 북한 고위급 대표단의 방미로 북미 대화가 급물살을 타자 남북 관계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양상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신년 기자회견에서 “제2차 북미 정상회담이 먼저 이뤄지고 나면 그 이후에 답방이 좀 더 순조롭게 추진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라고 밝힌 바 있다.

북미가 이달 27~28일 베트남에서 개최할 예정인 제2차 정상회담에서 북한의 구체적인 비핵화 조치와 이에 대한 미국의 상응조치를 합의한다면, 이를 발판으로 ‘3월 말에서 4월 초’에 김 위원장이 서울을 답방하는 것을 추진할 수 있으리란 관측이 제기된다.

내실 있는 정상회담을 개최하고 4·27 판문점선언과 9월 평양정상선언보다 진일보 한 공동선언을 발표할 여건이 마련되는 셈이기 때문이다.

북한이 충분한 비핵화 조치를 약속하면 제한적 제재 면제 등을 통해 철도·도로 연결 및 현대화,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등 남북 협력 사업을 본격화하거나 재개할 길이 열릴 수 있단 기대도 나온다.

미국이 대북 인도적 지원에 합의하면 이산가족 화상상봉, 이산가족 상설면회소 개·보수 등 대북제재의 영향을 받는 남북 간 인도적 협력도 활기를 띨 수 있다.

남북이 오는 4월, 4·27 판문점선언 1주년을 전후해 김 위원장 답방을 추진함으로써 남북관계를 한 차원 높이 끌어올리겠단 의지를 보여줄 가능성도 있다.

다만 이런 시나리오는 모두 제2차 북미정상회담이 성과를 거뒀을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만약 이달 말로 예정된 회담이 그 전에 무산되거나, 열리더라도 싱가포르 회담에서 합의한 원칙을 재확인하는 수준에 그친다면 김 위원장 답방 문제도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 경우 남북은 김 위원장 답방은 연기하고, 숨 고르기를 하며 한반도 정세를 풀어나갈 묘책을 강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