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7일부터 28일까지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렸던 2차 북미정상회담이 ‘빈손’으로 끝나면서 문재인 대통령의 역할에 눈길이 모인다. 그간 문 대통령은 북미 사이 ‘중재자 역할’을 자원하며 이들의 메신저로서 활약해왔다. 앞서 무산위기였던 1차 북미정상회담도 문 대통령의 중재역할이 있었던 터다.
1일에도 청와대는 이번 2차 북미정상회담을 분석하며 분주한 하루를 보냈다. 청와대 관계자들은 이날 현안점검회의를 열어 2차 북미정상회담에 대한 보도와 관련해 정보를 공유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전날(28일) 회담 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기자회견을 열어 북한이 ‘전면적인 제재 완화’를 요구했다고 밝히자, 밤 사이 리용호 북한 외무상이 “전면적 제재 해제가 아닌 ‘일부 해제’였다”고 언급하는 등 북미 간 미묘한 신경전이 피어올랐던 가운데 청와대 관계자는 뉴스1과 통화에서 “대통령도 일련의 상황을 당연히 보고받지 않았겠냐”고 언급했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비롯한 청와대 참모진들은 2차 북미정상회담 전후로 문 대통령에게 사실상 실시간으로 하노이 상황을 전했을 것으로 알려진다.
문 대통령은 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 다음날인 1일 3·1절 100주년 기념사를 통해 현 상황을 진정시키기 위한 ‘중재자’로서 등판할 것임을 시사했다. 문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이제 우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며 “우리 정부는 미국, 북한과 긴밀히 소통하고 협력하여 양국 간 대화의 완전한 타결을 반드시 성사시켜낼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의 등판 시기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베트남 공식 친선방문 일정을 마치고 북한으로 돌아간 이후일 것으로 예상된다. 접촉 순서는 북한 이후 미국 순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회담을 마친 후, 문 대통령과 가진 통화에서 문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 대화한 뒤 그 결과를 자신에게 알려주길 바란다고 했었다.
아울러 접촉 방식으로는 대북특사 파견이나 판문점 4차 남북정상회담 가능성이 거론된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6·12북미정상회담(1차) 무산위기 당시, 판문점에서 전격 비공개 5·26남북정상회담(2차)을 가지면서 1차 북미정상회담 개최를 정상궤도에 올려놨었다. 일각에선 남북 사이 ‘핫라인’ 활용 가능성도 주시하지만 도청 우려 등에 따라 북측은 ‘핫라인을 사용할 바에야 대면하자’는 입장으로 전해진다.
물론 트럼프 대통령을 먼저 만나고 북한과 본격 접촉할 가능성도 있다. 이에 따라 문 대통령이 3월 중 방미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만약 이번 한미정상회담 성사시 이는 문 대통령 취임 후 트럼프 대통령과 개최한 일곱번째 정상회담이 된다.
이런 가운데 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로 청와대가 고대했던 김 위원장의 서울답방 시기도 불투명해진 상태다. 한반도 상황을 진전시키는 키인 북미관계가 봉합될 때까지 서울답방 형식의 남북정상회담은 어려워진 게 아니냐는 것이다. 다만 한편에선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첫 남북정상회담인 4·27남북정상회담 1주년을 맞아 김 위원장의 방남이 이뤄지지 않겠냐는 관측도 나온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