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신인’으로 불렸던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지난 4·3보궐선거에서 1승1패라는 결과를 받아들면서 예상 밖의 선전을 기록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진보진영의 강세가 예상됐던 창원·성산에서 막판까지 접전을 벌이는 등 안정적인 당 운영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하지만 그동안 보선 이슈로 물밑으로 가라앉았던 5·18 광주민주화운동 폄훼 논란과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의 성접대 연루 의혹 등은 여전한 숙제로 남아 있다는 분석이다.
당 안팎에서는 보선 이후 황 대표의 우선 해결 과제로 김학의 사건과 관련한 연루 의혹을 어떻게 털어버릴지가 꼽히고 있다.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가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2013년 당시 법무부 장관이었던 황 대표에게 김 전 차관 관련 CD 존재 여부를 알렸다고 하면서 촉발된 이번 사건과 관련해 여당은 연일 황 대표에 대한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전날 열린 국회 운영위원회 청와대 업무보고에서 강병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황 대표를 겨냥, “장관이 차관의 성폭행 연루 여부를 알고 협조하면 장관은 바지사장이거나 이런 장관은 문재인 정부에선 경질 사유가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한 바 있다.
이에 한국당은 황 대표는 결백하다며 ‘김학의 특검법’까지 발의하는 등 맞불을 놓으며 본격적인 대여공세 채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국당의 이같은 대여 공세 배경에는 황 대표의 법무부 장관 취임 당시 이미 검증을 마친 박 전 차관의 비위를 사전에 몰랐을 뿐 아니라, 만약 알았다고 해도 막 취임한 장관으로서 단순히 박 후보자의 말만 듣고 이를 재검토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없었을 것이라는 판단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또 김 전 차관에 대한 수사는 오롯이 검찰총장의 몫으로 법무부 장관이었던 황 대표가 검찰에 직접 수사 지시를 내릴 수 없었던 만큼 책임 여부에서도 다소 자유로울 수 있다는 계산도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함께 5·18 폄훼논란과 관련 김진태, 이종명 의원과 김순례 최고위원의 징계조치 여부도 관심사다.
황 대표는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사의를 표명한 김영종 당 윤리위원장의 사표가 아직 수리되지 않았다”며 “될 수 있으면 빨리 김 위원장의 뜻을 확인하고, 필요한 조치를 하겠다”고 말하는 등 당장 5·18 징계와 관련해선 당장 결정을 내리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하지만 보선 등 정국의 주요 이슈가 정리된 상황에서 정치권에서 5·18 징계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면 황 대표가 받는 압박은 더욱 커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밖에도 지명직 최고위원, 조직부총장 등 당내 핵심 요직 인선도 주요 숙제 중 하나다.
앞서 황 대표는 당직 인선 과정에서 이른바 친박(親박근혜)계를 대거 중용하면서 친황(親황교안)체제 구축이라는 지적을 받은 바 있다. 이에 남은 당직 인선에서 탕평을 택할지도 관건이다.
이와 함께 5·18 폄훼논란과 관련 김진태, 이종명 의원과 김순례 최고위원의 징계조치 여부도 관심사다.
황 대표는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사의를 표명한 김영종 당 윤리위원장의 사표가 아직 수리되지 않았다”며 “가급적 빨리 김 위원장의 뜻을 확인하고, 필요한 조치를 하겠다”고 말하는 등 5·18 징계와 관련해선 당장 결정을 내리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하지만 보선 등 정국의 주요 이슈가 정리된 상황에서 정치권에서 5·18 징계에 대한 목소리가 커질 경우 황 대표가 받는 압박은 더욱 커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밖에도 지명직 최고위원, 조직부총장 등 당내 핵심 요직 인선도 주요 숙제 중 하나다.
앞서 황 대표는 당직 인선 과정에서 이른바 친박(親박근혜)계를 대거 중용하면서 친황(親황교안)체제 구축이라는 지적을 받은 바 있다. 이에 남은 당직 인선에서 황 대표가 탕평과 친황 체제 중 어떤 선택을 할지도 관심사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