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첩첩산중’ 바른미래…사보임, 孫 퇴진론에 분당 위기?

  • 뉴스1
  • 입력 2019년 4월 24일 15시 59분


패스트트랙 추인 합의 불과 하루 만에 당내 갈등 최고조로
오신환 ‘사보임’으로 시작된 갈등 손학규 대표 퇴임론으로 번져

유승민 바른미래당 의원이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패스트트랙 추인’ 의원총회를 마치고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한편 의원총회를 마치고 김관영 원내대표는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골자로 한 선거법개정안과 공수처법등의 패스트트랙’을 의원총회에서 추인했다고 말했다. 2019.4.23/뉴스1 © News1
유승민 바른미래당 의원이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패스트트랙 추인’ 의원총회를 마치고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한편 의원총회를 마치고 김관영 원내대표는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골자로 한 선거법개정안과 공수처법등의 패스트트랙’을 의원총회에서 추인했다고 말했다. 2019.4.23/뉴스1 © News1
바른미래당이 ‘첩첩산중’으로 내몰리고 있다. 자유한국당을 제외한 여야 4당이 합의한 선거제·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지정) 합의안을 가까스로 추인했지만 불과 하루만에 손학규 대표 탄핵론 등이 터져 나오는 분당으로 치닫는 것 아니냐는 우려마저 일고 있다.

문제의 발단은 국회 사법개혁특별위원회 바른미래당 간사인 오신환 의원이 24일 공수처 법안에 대한 반대 입장을 밝히면서다.

여야 4당이 패스트트랙에 태우기로 한 공수처법안은 사법개혁특별위원회에서 다뤄진다. 국회법에 따르면 신속처리안건으로 지정하려면 소관 상임위 재적 위원 과반수가 서명한 ‘신속처리 지정동의’를 소관 상임위 위원장에게 제출해야 한다.

현재 사법개혁특위 총원 18명 중 여야 4당 소속 의원이 11명으로 겨우 물리적으로는 가능한 숫자지만, 바른미래당 소속 사개특위 위원인 오신환·권은희 의원 중 한 명이라도 표결에서 반대표를 행사할 경우 신속처리안건 지정은 불가능해진다.

오 의원은 당론 추인이 아닌 당의 입장을 모은 것인 만큼 소신에 따라 반대표를 던지겠다는 입장이다. 특히 전날 열린 의원총회에서 김관영 원내대표가 사법개혁특별위원회 사보임은 없다는 뜻을 밝혔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손학규 대표와 김 원내대표는 즉각 ‘사보임’은 없다고 명시적으로 말한 바 없다며 오 의원의 사보임을 시사하고 나섰다. 당론은 아니지만, 당의 입장을 모은 상황에서 당의 입장에 맞서는 오 의원의 주장은 사실상 ‘사보임’을 요구한 것이라는 해석이다.

당 지도부의 이같은 주장에 지상욱·이태규 의원은 성명서를 통해 “어제 당의 공식 의원총회에서 패스트트랙 추진은 당론이 아니고 사개특위 위원은 사보임 없다고 공식 확인했다”며 “당의 분열을 유도하며 당내 민주주의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손학규대표는 물론 김관영 원내대표의 퇴진이 조속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이에 유승민 의원을 비롯한 패스트트랙에 반대하는 의원들은 이날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긴급 회동을 열고 후속 대책 논의에 나서기로 하는 등 당내 갈등이 일촉즉발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이들은 손 대표 탄핵절차와 김 원내대표 불신임 절차를 위한 의원총회 소집요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미 정병국·유승민·이혜훈·유의동·오신환·정운천·하태경·지상욱·이태규·김중로 등 10명의 의원은 당 원내행정실에 의원총회 소집 요구서를 제출했다.

바른미래당의 이같은 갈등은 이미 예상됐던 수순이라는 분석이다. 당초 패스트트랙 추인 과정에서 12대(찬성)대 11(반대)의 팽팽한 입장차가 당내 적군과 아군 구분을 해줬다는 것이다.

결국 국민의 당이라는 진보와 바른정당이라는 보수의 정체성을 각각 가진 두 정당이 합당하면서 그동안 쌓여왔던 갈등이 폭발했고, 양측의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으면서 최악의 경우 ‘분당’ 사태에 직면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