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일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한·일 관계와 관련해 과거사 문제와 미래 문제를 분리해 접근한다는 이른바 투트랙 기조를 재확인했다.
강경화 장관은 이날 외교부 청사에서 진행한 내신 기자단 브리핑에서 전일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들이 일본 전범 기업의 국내 자산 매각 절차에 돌입한 것과 관련해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강 장관은 “사법절차가 진행되는 상황을 동향 파악, 또 논의 내용들을 꾸준히 파악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우리 정부가 거기에 그런 어떤 개입을 한다, 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을 한다”고 말했다.
이어 “(한일 관계 개선에 대해) 다각도로 대안을 마련하고 있습니다만, 또 시기도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안타깝게도 지금까지는 대외적으로 어떤 뭘 정부가 발표할 수 있는 그런 시기는 아니라고 생각을 한다”고 설명했다.
전일 강제동원 피해자 법률 대리인단은 일본 전범기업들의 국내 자산을 매각해달라고 법원에 신청했다. 이번 신청은 지난해 대법원의 손해배상 확정 판결에 따른 것이다.
강제동원 피해자들은 앞서 압류 조치했던 일본제철과 후지코시(不二越) 등 일본 기업들의 한국 내 자산 중 일본제철 소유 PNR 주식 19만4794주(약 9억7000만원 상당)와 후지코시 소유 대성나찌유업공업주식 7만6500주(약 7억6000만원 상당)에 대한 매각 명령을 각각 관할 법원에 신청했다.
대법원이 이미 확정 판결을 했기 때문에 피해자들의 매각 신청은 허가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법원 안팎의 전망이다.
전일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관방장관은 후지TV에 출연, 한국에서 일본 전범기업의 자산 매각 절차가 시작된 데 대해 “일본 기업들의 이익을 지켜내겠다”며 강력 반발했다.
그렇지만 강 장관은 지난해 한일 관광객이 1000만명을 넘어선 점은 거론하며 “어제 나루히토 천황 즉위로 새로운 시대를 맞이한 일본과는 역사를 직시하는 가운데 미래지향적 관계 발전을 지속 추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강 장관은 “외교 당국 간 협의를 통해서 그런 (한일 관계 개선의) 모멘텀이 마련될 수 있도록 (오는 6월 오사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담 대비, 또 그 밖의 계기에 대해서 협의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 장관은 “역사와 인권이라는 문제하에서 (강제 징용) 피해자의 치유가 해결될 수 있는 방안이 중요하다는 입장”이라면 “그렇지만 한일관계를 잘 관리해 나가야 한다는 이런 다각적인 요소들을 정해서 현재 진행되는 상황을 계속적으로 분석하고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