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새로운 쟁점이 등장하고, 여야의 극한 대립이 벌어지는 국회지만, 총선을 1년 앞두고 불거진 여야의 갈등은 20대 국회 초·중반과 달리 연일 격화되는 분위기다.
여야가 충돌하는 통에 국회가 공전한 지는 7일로 두 달이 됐고, 국회에 제출된 지 43일이 된 추가경정예산안은 사흘이 지나면 2008년 이후 국회에 제출된 추경안 중 역대 최장 국회 계류 기간을 경신하게 된다.
총선을 1년 앞두고 여야의 극한 대립이 벌어진 것은 올해 뿐만이 아니다.
여야가 쟁점을 놓고 극한 대립을 빚을수록 지지층 결집을 유도할 수 있어, 총선을 1년 앞둔 해에 벌어지는 여야의 갈등은 여느 때보다 극심한 양상을 띤다.
이번 대치 국면이 정기국회까지, 또는 그 이상 계속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20대 총선을 1년 앞둔 지난 2015년 박근혜 당시 대통령이 역사교과서의 국정화 방침을 밝혔을 때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는 “전체주의적 발상”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당시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한 문 대표는 10월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새정치민주연합 대표·원내대표가 참석하는 5자 회동을 했지만, 정부가 11월 3일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확정하자 약 1주일 간 국회 의사일정을 전면 거부했다.
19대 총선 1년 전인 2011년에는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국회 비준안 처리 문제로 여야가 충돌했다.
11월21일 당시 한나라당은 기습적으로 예정에 없던 본회의를 열어 FTA 비준안 처리를 시도했고, 이 과정에서 김선동 민주노동당 의원이 최루탄을 터뜨리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FTA 비준안 처리 이후 파행이 빚어지면서 새해 예산안은 12월31일 밤 가까스로 본회의를 통과했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이번 20대 국회는 사실상 끝났다고 봐야 한다”며 “총선을 앞두고 지역별로 내년도 예산을 확보해야 하는 만큼 정기국회는 정상적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지만, 예산을 놓고 파행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