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참은 이들의 귀순이 계획됐는지 여부에 대해 합동신문을 통해 조사하고 있다. 안 위원장은 “계획된 귀순인지 부분에 대해선 합동신문이 끝나지 않아서 다시 한 번 보고해달라고 했다”고 말했다.
또한 합참은 선원들의 신원에 대해선 “우리 군이 직접 나서서 파악하고 있다”고 전했다.
합참은 국방위 보고에서 해상 감시가 쉽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안 위원장은 “동해상이 워낙 넓은 해역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감시·정찰 능력의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며 “함참이 경계 실패를 인정한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안 위원장은 또 “북한에서 내려온 목선이 1.8톤이고 파도가 목선보다 높이 있기 때문에 감시와 정찰을 하는데 능력에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이어 “해상과 육상의 감시, 정찰 장비를 신속히 개선할 것을 주문했고 합동신문 결과에 다라 우리 군의 내부 조사를 통해 부족한 것에 대해선 질책이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전했다.
또한 “감시정찰 능력을 최대한 발휘했지만 촘촘하게 잡아내기는 쉽지 않다”면서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계 실책이라고 한다면 누군가는 책임을 져야 한다”고 했다.
안 위원장은 해당 선박이 삼척항 항구에 들어와 부두에 정박한 사실이 밝혀져 국방부 발표를 놓고 거짓 논란이 제기된데 대해선 “당초 합참에서도 ‘해상 인근’이라는 표현을 썼는데 이는 통일부 발표를 인용해서 보고한 모양”이라며 “정확히 보면 해상 인근이 아니고 접안 상태에서 배에 탔던 어부가 육지에 내렸기 때문에 인근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