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파주 오두산전망대에서 바라본 북한 황해북도 개풍군 일대 주택 © News1
유엔은 북한을 지난 10년간 위험관리 지수가 가장 나빠진 10개국 중 하나로 꼽았다고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이 전했다.
RFA는 10일 유엔 산하 기구들이 최근 공동 발행한 ‘2019 인도주의 위기 및 재해 위험 평가보고서’에서 북한 당국의 위기관리 능력이 세계 191개국 중 55번째로 평가했다고 밝혔다.
특히 결핵 같은 전염병 예방 능력이나 자연재해대비 등은 세계 최하위 수준이라는 평가를 내렸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북한을 홍수나 태풍 등 자연재해 대비와 사회기반시설이 부족하고 규제의 공정성과 언론 자유 등이 보장되지 않아 위험 지수가 높다고 지적했다.
위험 지수는 자연재해, 정부능력, 지역사회의 취약성 등 50개 지표를 종합해서 산정되는 데 북한은 4.7점으로, 전체 조사대상 191개국 중 하위 28% 수준인 55위로 평가됐다.
RFA에 따르면, 보고서는 북한이 2010년 이후 위기 지수가 가장 큰 폭으로 나빠진 10대 국가 중 하나로 분류된 것으로 전해졌다.
2010년 북한의 위기 지수는 3.5점 대였지만 10년 만에 4.7점으로 자연재해나 전염병 감염의 위기가 커졌다는 분석이다.
보고서는 주민들의 영양상태, 휴대전화보급, 폐렴 예방, 부패, 행정부의 효율성 등 다섯 항목에서 북한이 전 세계 최악 10위권으로 분류된다고 밝혔다.
또한 북한 정권의 재해 대응력도 수준 이하로 평가했다.
북한은 ‘무능력’을 뜻하는 10점 쪽에 가까운 평균 6.4점으로, 한국(1.9), 일본(1.5) 중국(3.6) 등 동아시아 주변국들과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서울=뉴스1)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