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경제 활성화와 지역발전에 힘을 싣고 현장과 소통하기 위해 지난해 시작한 전국경제투어는 이날 10번째 전남을 방문하면서 막바지를 향해 달려가고 있다.
전국경제투어 행선지는 서울특별시와 세종특별자치시, 6개 광역시(인천·대전·광주·대구·울산·부산), 8개 도(경기·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과 1개의 특별자치도(제주) 등 17곳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10월30일 전북을 시작으로 Δ경북(2018년 11월8일) Δ경남(2018년 12월13일) Δ울산(2019년 1월17일) Δ대전(1월24일) Δ부산(2월13일) Δ대구(3월22일) Δ강원(4월26일) Δ충북(5월22일) Δ전남(7월12일)을 순회했다.
지리적으로 서울과 인접한 수도권 3곳(서울·인천·경기)를 제외하면 현재 남은 지역은 세종과 충남, 광주, 제주 등 4곳이다. 다만 세종의 경우 행정중심복합도시라는 특수성을 감안할 때, 전국투어의 취지에 맞는 곳은 충남과 광주, 제주 등 3곳이 남은 셈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뉴스1과의 통화에서 “전체적으로 모든 지역을 방문하려고 하고 있다”라며 “아직 전남 이후의 계획은 들은 바 없다”고 밝혔다.
◇지역 특화 중점 신산업에 ‘지역경제’ 힘싣기
문 대통령의 경제투어 일정은 각 지역에서 일자리, 경제 살리기 일환으로 주력하는 신산업 비전선포식과 맞물려 추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어느 지역을 먼저 가는지에 의미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청와대의 설명이다.
문 대통령은 전북 새만금 재생에너지, 경남은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울산은 수소경제, 대전은 4차산업혁명, 부산은 스마트 시티, 대구는 로봇산업, 강원은 평화경제, 충북은 바이오헬스, 전남은 블루 이코노미와 혁신도시 비전 선포식과 보고회에 참석해 각 지역 주력 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울산시청에서 수소경제관련 부스를 둘러보고 “뭐 요즘 현대차, 특히 수소차 부분은 내가 아주 홍보 모델이에요”라고 농담을 건네며 ‘홍보대사’를 자처하기도 했다.
경북지역 경제인과의 간담회에서는 경북이 ‘신북방정책’의 거점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주력사업에 첨단과학 역량이 결합되면 경북이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의 중심이 될 수 있다”며 “포스텍과 울산 유니스트의 연구역량이 포항의 철강, 구미의 전자, 대구의 의료와 패션과 만나고 여기에 영천의 부품소재산업이 더해지면 탄탄한 스마트기지가 될 것”이라고 치켜세웠다.
청와대 관계자는 “준비된 지역과 각 지역의 비전·발전전략 상황과 맞게 일정이 조율된다”라며 “지역마다 집중하는 중점 비전과 연계해 비전 선포식을 추진했다”고 설명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