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악성 댓글을 단 네티즌 170명을 모욕혐의로 고소한 사실이 알려진 가운데 나 원내대표 개인이 아닌 당 차원에서 대응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경찰 고소는 한국당 당무감사실에서 맡아 진행했다.
전문가는 네티즌들이 국회의원을 대상으로 명예훼손·모욕죄에 해당하는 ‘심각한 악플’을 달 경우 개인차원으로 고소하는 건 가능하지만, 당 차원에서 나서는 건 적절하지 않은 부분이 있다고 봤다.
9일 한국당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나 원내대표가 한국당 첫 여성 원내대표로 선출된 사실을 전한 기사에 달린 7000개에 가까운 댓글 중에는 성적모욕, 수치심 유발, 가족 언급 등 심각한 악성댓글이 많이 달렸다.
한국당은 그 중에서 모욕죄에 해당하는 심각한 수준의 악플을 선별해 지난 6월초 서울 영등포경찰서에 고발했다고 밝혔다.
한국당 관계자는 “친일과 관련해 나 원내대표를 매도하는 표현들만 언급되며 고소한 것처럼 부각돼 있지만 실제론 당시엔 일본과 경제 갈등이 없었던 때였기 때문에 그러한 내용이 많지 않았다”면서 “성적인 모욕 또는 딸을 언급하며 비하하는 내용 등 눈 뜨고 보기 힘든 수준의 댓글이 고소 대상이었다”고 말했다.
당 관계자들로부터 나 원내대표의 의지로 고소가 이뤄졌는지는 알 수 없었다. 다만 모욕죄는 친고죄에 해당하기 때문에 나 원내대표의 동의가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날 나 원내대표는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금융시장 점검 현장간담회를 마친 후 기자와 만나 관련 질문에 “당무감사실에서 절차대로 (진행)하고 있다”고 짧게 답한 후 말을 아꼈다.
나 원내대표가 악성 네티즌에 대한 고소에 나선 건 자신뿐 아니라 가족에 대한 모욕적 표현들이 너무 심했기 때문으로 짐작된다. 다만 개인적인 문제인데 당 차원에서 나선 이유는 명확하지 않은 상황이다.
당 관계자는 “당무감사실에서 (의원들의 고소·고발에 대한) 위임을 받아 대응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라고만 답했다.
최근 일본 아베 정부와의 무역보복 갈등 정국에서 한국당이 ‘친일프레임’에 휩싸이면서 한국당 지도부에 대한 네티즌들의 악플이 쏟아지고 있는 만큼 당 차원에서 불리한 여론을 미리 차단해야 한다는 판단이 섰을 수 있어 보인다.
그러나 전문가는 네티즌들이 명예훼손·모욕죄에 해당하는 도를 넘은 ‘악플’을 달 경우 개인 차원에서 고소하는 건 충분히 가능하지만, 당 차원에서 나선 건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요즘 악플이 아주 심각하다보니 국회의원도 모욕죄를 충분히 걸 수 있다고 본다”며 “다만 개인차원에서 해야지 당에서 나설 문제는 아니지 않나 싶다. 왜 당 차원에서 진행하는 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도 지난해 10월 발족한 허위조작정보대책특별위원회를 통해 문재인 대통령과 관련 허위조작정보(가짜뉴스)에 대해 고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