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처럼 여야가 조 후보자를 놓고 사생결단식의 정면충돌을 벌이는 배경은 조 후보자가 갖고 있는 남다른 무게감 때문이다.
조 후보자는 문재인정부 출범 직후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으로 발탁되면서 문 대통령의 복심이 됐다. 야권의 모든 화력이 조 후보자에게 쏠릴 수밖에 없다. 야권의 대여공세를 막아내야 하는 민주당이 조 후보자의 두툼한 방패막이를 자처한 이유다.
또한 조 후보자는 문재인정부의 사법제도 개혁을 상징하고 있다. 검경 수사권 조정,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 등의 개혁을 추진한 당사자다.
민주당은 조 후보자 카드가 불발될 경우 사법제도 개혁이 꺾일 수도 있다는 우려를 안고 있다. 반면, 문재인정부식의 사법제도 개혁에 반대하는 한국당 입장에선 조 후보자 공략이 1차 목표가 됐다.
21대 총선이 8개월여 앞으로 다가온 시점도 정치권 공방이 거세지는 주요인으로 꼽힌다. 청문회와 정기국회가 마무리되면 정치권은 곧바로 선거 국면에 돌입한다. 청문회 정국에서 어느 쪽이 기선을 제압하느냐에 따라 향후 정국의 키를 쥘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조 후보자는 이번 개각을 통해 차기 대선주자로 거론되고 있다. 야권 입장에선 반드시 손을 봐야 하는 인물이 됐고 여권은 지켜야 하는 대상이 된 셈이다.
한국당과 조 후보자의 악연 역시 날선 정국에 더욱 불을 지피고 있다. 한국당은 조 후보자가 청와대에서 몸담고 있던 시절부터 끊임없이 충돌했었다. 한국당은 개각 직전 조국 법무부 장관설이 퍼지자 “보복정치, 공포정치로 우파를 완전히 추방하겠다는 선전포고”라고 할 정도였다.
이 같은 이유로 여야는 한동안 조국 후보자를 놓고 대치전선을 형성할 것으로 보인다. 조 후보자 공방전이 정치권에 어떤 파장을 일으킬 것인지 이목이 집중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