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총선을 앞두고 초·재선 의원을 중심으로 한 자유한국당 ‘인적쇄신론’이 점점 커지면서 3선 이상 의원들의 거취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재선 김태흠 의원의 영남권과 강남3구 3선이상 국회의원 용퇴(勇退) 혹은 수도권 험지 출마론으로 시작된 인적쇄신 요구는 15일 재선 김성찬 의원의 불출마로 더욱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김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불출마 기자회견을 하고 “저에게 주어진 정치적 기득권을 내려놓음으로써 더 좋은 인재들이 국가와 국민을 위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줘야 할 때라고 생각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당내에서 제기되는 중진 용퇴론에 대해 “각자 판단해야 한다”면서도 “내가 가진 게 있다면 비워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현재 한국당 내부에서 직·간접적으로 불출마 선언을 한 현역 의원은 김무성 의원(6선), 김성찬 의원(재선), 유민봉(초선·비례) 등 3명이다.
앞서 김무성 지난 12일 오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보수는 품격이다. 품위있는 퇴장을 하면서 보수통합의 밀알이 될 것”이라며 내년 총선 불출마를 재확인하고, “우파 정치세력이 어렵게 되는 과정에서 책임자급에 있었던 사람들은 이번 선거에서 쉬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중진 등 핵심인사들의 용퇴를 주문한 바 있다.
하지만 인적쇄신론의 중심에 서 있는 3선 이상 의원 가운데는 김무성 의원을 제외하고는 현재 불출마 의사를 공식적으로 밝힌 의원은 없는 상황이다.
오히려 3선 이상 의원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중진들의 용퇴나 수도권 출마가 실제 총선 승리에 도움이 되느냐에 대한 회의적 목소리도 적지 않다.
한 중진 의원은 뉴스1과 통화에서 “국회의원의 지위는 국가 대표성과 주민 대표성을 동시에 가진다”며 “중앙당에서 물갈이 논리에 따라 장기판에서 말을 옮기듯이 공천을 하는 것은 원리상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인적쇄신론에는 어느정도 동의를 하지만 실행 가능성이 높지 않는 인적쇄신론을 주장해봤자 당내 갈등만 커진다는 것이다.
하지만 인적쇄신론에 대한 중진 의원들이 받는 압박감은 점점 커질 전망이다. 이미 현역의원 가운데 3명이 불출마를 선택했을 뿐 아니라 한국당 전체 의석수 70%를 차지하는 초·재선 의원들의 요구를 계속 묵살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