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한국의 주택난 해결할 이 기술은? [우아한 전문가 발언대]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11월 18일 14시 00분


[4차산업혁명과 한반도 통일]〈3〉

붕괴 30주년을 맞은 베를린 장벽 베를린=김윤종 특파원 zozo@donga.com
붕괴 30주년을 맞은 베를린 장벽 베를린=김윤종 특파원 zozo@donga.com

지난 11월 9일은 세계사적으로는 중요한 의미가 있는 날이자 우리에게는 부러운 날이었습니다. 30년전 독일의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날입니다. 1945년 5월 8일 나치 독일이 연합군에 항복하자, 전승국들이 전후 독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동서독을 갈라놓았고, 동독땅에 위치한 베를린도 반으로 나누었지요. 정치적으로 나뉜 이 땅을 1961년 8월에는 베를린 동서로 43km의 장벽을 설치함으로써 물리적으로도 완전히 나눠버렸고, 이 베를린 장벽은 동서 냉전의 상징이 되었던거죠. 베를린장벽이 설치될 때 서베를린 시장이었던 빌리 브란트 전서독 총리조차도 1989년 10월 24일 한국에 방문해서, 독일 통일을 내 생전에 보기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그런데 보름 후인 11월 9일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겁니다.

자유화 바람 속에서 1989년 5월부터 동독주민들이 서독으로 급격하게 빠져나가기 시작했는데, 통일이 발효된 이듬해까지 그 숫자가 58만여 명이나 되었습니다. 그들의 동독 이탈 동기의 대부분은 정치적 조건에 대한 불만(93%)과 함께 낮은 생활수준과 환경(88%)이었다고 합니다. 실제로 동독지역의 경우 제2차 세계대전 이전에 지어진 주택이 65%을 넘어설 정도로 낙후되어 있었습니다.

동독주민들의 서독으로의 유입은 서독에게 있어서는 경제적, 사회적 부담이 될 수밖에 없었죠. 그래서 통일 독일은 무엇보다 동독 주민들의 생활환경 개선을 위해 대대적인 건설사업을 추진하게 됩니다. 연방정부는 1990년부터 독일재건은행을 통해 100억 마르크(당시 환율 기준 약 6조원) 규모의 주택개선프로그램을 추진했고, 그 결과 통일 이후 10년 동안 동독 지역에서 공적 자금의 지원을 받아 개·보수되거나 신축된 주택수가 무려 전체주택의 50%를 넘을 정도였습니다.

만약 이러한 독일 통일의 과정이 우리에게 일어난다면, 북한 지역 개발을 위해 대대적인 철도, 도로, 항만 등 사회간접자본에 대한 투자가 있어야 할 것입니다. 이와 함께 북한 주민들의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건설사업이 추진되어야 할 것입니다. 평양의 과학자 거리나 여명거리와 같은 평양의 시가 모습은 선택된 땅 평양의 모습일 뿐입니다. 북한의 주택보급률은 약 60% 내외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보급률도 문제지만 시설면에서도 북한 전체 가구의 81.9%가 방 2개 미만의 주택에서 거주하고, 수세식 화장실의 보급률도 58.3%에 불과하며, 난방도 석탄과 나무 의존도가 92.2%에 이르고 있는 등 주택 수준이 낙후되어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지금 당장이라도 통일된다면 약 100만호의 신규건설과 280만호 정도의 리모델링이 필요할 것이라는 연구도 있습니다.
3D프린터로 출력한 금속제품. 재료연구소 과학동아 제공 동아일보DB
3D프린터로 출력한 금속제품. 재료연구소 과학동아 제공 동아일보DB

이 지점에서 우리는 다시한번 4차산업혁명 첨단기술에 눈을 돌려보겠습니다. 그중 3D 프린팅 기술은 디지털 모델을 사용한 연속적인 층을 프린팅함으로써 물체를 생성하는 기술 즉 적층가공(Additive Manufacturing) 기술인데, 이 기술은 2025년까지 세상을 바꾸는 12가지 영향력 있는 기술 중의 하나로 지목되기도 했습니다. 3D 프린팅은 부품생산 분야, 바이오 프린팅 그리고 대규모의 건축 영역으로까지 확장되고 있습니다. 이제 집은 대규모로 짓는 것이 아니라 내집의 구조, 색상, 내부 인테리어 등을 지정하여 3D프린터 건설사에 연락하면 공장에서 프린팅하고 운반 조립해 주는 시대가 도래한 겁니다. 이 같은 방법으로 주택을 만드는 중국의 윈썬(WINSUN)사는 길이 32m, 높이 10m, 폭 6m의 주택을 대규모 3D프린터를 사용하여 하루에 10채 이상을 인쇄합니다. 3D 프린팅 건축기술에 사용된 잉크 즉 건축자재는 재활용할 수 있고, 산업폐기물이나 쓰레기로 만든 건축자재도 재활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러니 환경오염 문제도 해결하는 기술인 셈이죠. 주택의 크기도 6층 높이의 주거용 빌라를 한화 1억 7000만원 정도의 비용으로 건립합니다. 이제는 건축물 크기 경쟁에서 속도경쟁으로 발전되어 메사추세츠 공대 기술진들은 자유롭게 움직이는 긴 형태의 로봇팔을 개발해 13시간 30분 만에 지금 14.6m, 높이 3.7m 돔 구조물을 제작할 정도입니다.

가능성의 얘기가 아니라 최악의 경우를 대비하는 것이 국가의 책무라는 관점에서 만약 통일이 북한 체제의 붕괴로 인하여 발생한다면 북한 지역 안정화를 위한 시급한 사업이 북한 주민들의 생활 환경개선이 될 것입니다. 10년씩 걸릴 사업이 아니죠. 그렇다면 우리는 이 3D 프린팅 기술을 상업용 첨단기술이 아닌 국가 전략기술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지 않을까요?

이인배 협력안보연구원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