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 중 절반이상이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 결정을 잘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 10명 중 8~9명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 대해 호감이 가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시진핑 중가 국가주석의 경우 2013년 8월 이후 일곱 차례 조사 중 호감도 최저치, 비호감도는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국갤럽은 지난 19~21일 지소미아 종료를 앞두고 전국 성인 1001명에게 우리 정부의 종료 결정에 대해 물은 결과, 51%가 ‘잘한 일’이라고 답했다고 22일 밝혔다.
29%는 ‘잘못한 일’로 평가했으며 20%는 의견을 유보했다.
이는 지난 8월 조사 당시 잘한 일 53%, 잘못한 일 28% 결과와 비슷하다.
자유한국당 지지층에서는 70%, 성향 보수층 중에서는 57%가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갤럽은 “지지정당이 없는 무당층, 대구·경북 지역민, 60대 이상 등에서는 긍·부정 의견이 비슷하게 나타났다”며 “그 외 응답자 특성에서는 정부의 지소미아 종료 결정에 긍정적 시각이 우세하다”고 설명했다.
지소미아 체결을 추진 중이던 2016년 11월 당시 조사에서는 ‘우리 안보에 일본의 정보력이 도움 될 것이므로 협정 체결해야 한다’ 31%, ‘과거사 반성 없는 일본과 군사적으로 협력을 강화해선 안 된다’ 59%로 나타난 바 있다.
우리 주변국 정상 다섯 명에 대한 호감 여부를 물은 결과 푸틴 러시아 대통령(17%),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시진핑 주석(이상 15%), 김정은 위원장(9%), 아베 총리(3%) 순으로 나타났다.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 ‘호감이 간다’는 응답 비율은 15%로, 올해 2월 베트남 하노이 2차 북미정상회담 전보다 9%p 줄었다. 트럼프 대통령 호감도는 2017년 5월 9%에 불과했으나, 그해 11월 한국 방문 후 25%로 늘었고 2018년 5월 북미정상회담 수락 직후에는 32%까지 오른 바 있다.
시진핑 주석에 대해서는 ‘호감 간다’ 15%, ‘호감 가지 않는다’ 73%로 집계됐다. 2013년 8월 이후 일곱 차례 조사 중 호감도 최저치, 비호감도는 최고치다. 2013년 8~9월에는 한국인의 시 주석 호감도가 50% 내외였고, 특히 시 주석이 한국을 방문한 직후인 2014년 7월에는 59%까지 기록한 바 있으나 사드 관련 경제적 보복 공세가 시작된 2017년부터 30%를 밑돈다.
아베 총리에 대해서는 한국인 열 명 중 아홉 명(92%)이 ‘호감 가지 않는다’고 답했고 ‘호감 간다’는 3%에 그쳤다. 한국인의 아베 총리 호감도는 2013년 이후 여섯 차례 조사에서 모두 5% 내외다.
푸틴 대통령에 대해서는 ‘호감 간다’ 17%, ‘호감 가지 않는다’가 61%로 나타났다. 의견유보가 22%로 비교적 많은 편이다. 2013년 8~9월 조사에서는 한국인 열 명 중 네 명(38%)이 잘 모르겠다는 반응이었다.
김정은 위원장에 대해서는 우리 국민 열 명 중 여덟 명(82%)이 ‘호감 가지 않는다’고 답했다. ‘호감 간다’는 9%로, 남북정상회담 이전 수준으로 되돌아갔다. 김 위원장 호감도 최고치는 2018년 5월 말 2차 남북정상회담 직후 31%다.
이외에도 갤럽이 미·중·일·러 중 한반도 평화를 위해 어느 나라와의 관계가 가장 중요하다고 보는지 물은 결과 62%가 미국, 19%는 중국을 선택했으며 일본과 러시아는 각각 6%, 2%로 집계됐다.
2년 전과 비교하면 미국, 일본을 중요하다고 보는 응답이 각각 5%p, 4%p 많아졌고 중국은 17%p 줄었다.
미국이 중요하다는 응답은 20·30대에서 약 70%, 40대 이상에서는 60% 내외다.
갤럽은 “2016년~2017년 조사에서는 다른 연령대와 달리 40대가 양국을 비슷하게 중시하는 경향이 뚜렷했는데 이번에는 그렇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박근혜정부 출범 초기인 2013년 3월 북한 3차 핵실험, 유엔 대북제재 결의안 통과 후 조사에서는 71%가 미국, 18%가 중국을 답했고, 그해 7월 박 전 대통령의 중국 방문 후에는 미국(56%) 대비 중국(35%)의 비중이 늘었다. 중국은 2017년 상반기 사드 배치 결정 발표 후 강경 반발하며 경제적 보복 공세를 펴다가 그해 11월 즈음부터 완화 움직임을 보였다.
이번 조사는 전화조사원 인터뷰 형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 ±3.1%p(95% 신뢰수준)에 응답률은 16%.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