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관 전 대통령홍보수석비서관은 문재인 대통령의 ‘국민과의 대화’를 두고 “팬미팅처럼 진행된 전근대적 소통 방식”이라고 비판했다. 이 전 수석은 21일 국회에서 열린 사단법인 국정리더십포럼 주최 ‘대통령과 소통’ 세미나에 연사로 나와 “보여주기식 소통은 안 된다”며 “평소 가족한테 살갑게 안 하던 사람이 갑자기 좋은 곳에 데려가서 외식하자고하면 그건 소통도 아니고 사랑받는 가장도 아니다”라고 했다.
이 전 수석은 이명박 정부에서 청와대에 몸담았던 경험을 토대로 청와대에서 국민과의 직접 소통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과제인지에 대해 설명했다. 이 전 수석은 “청와대라는 구조 자체가 소통을 가로막는 공간이란 걸 뼈저리게 느꼈다”며 “대통령이 의도적으로 노력하더라도 소통하기 쉽지 않다”고 했다. 또 “청와대는 다 정제된 정보만 보고로 올라온다. 그런 의미에서 소통의 공간이 아니다”라며 “청와대 구조가 바뀌지 않는 한 어떤 대통령도 소통하기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또 이 전 수석은 “문 대통령이 퇴근길에 시장에 들러 술 한 잔 하는 광화문 대통령이 되겠다고 했는데 처음부터 안 된다고 생각했다”며 “경호 때문에도 안 되고, 청와대에 한 번 들어가면 나오게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대통령의 개인 시간 1시간 내는 것도 어려운 일”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