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청두에서 한일정상회담이 열린지 사흘만인 27일 군이 동해영토수호훈련을 실시했다. 앞서 군은 한일 군사정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파기 결정 사흘만인 8월 25일에 독도방어훈련을 ‘동해영토수호훈련’으로 명칭을 바꿔 역대 최대 규모로 실시했지만 이번엔 컴퓨터 시뮬레이션 훈련으로 진행했다.
군에 따르면 이날 훈련은 지난번과 달리 병력과 장비(함정·항공기)를 동원한 실기동 훈련이 아닌 지휘소연습(CPX)으로 진행됐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활용해 독도의 외부세력 침입 상황 등을 상정한 뒤 병력·장비를 순차적으로 투입해 대응하는 내용이었다고 한다.
군 관계자는 “동해의 기상 조건이 실기동 훈련을 하기 힘든 상황이었다”고 말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동해 먼 바다에는 풍랑경보가 발효됐고, 파고도 2~6m로 높았다. 1986년부터 매년 두 차례 실시해 온 관례에 따라 올해 훈련을 마무리 짓는 조치였다는 게 군의 설명이다.
하지만 군 안팎에선 일본의 수출 규제 해제를 비롯한 양국 간 현안 논의가 진행되는 상황이 반영된 게 아니냐는 분석이 많다. 훈련은 하되 가급적 일본을 자극하지 않기 위한 ‘로키(low-key·최소 대응) 행보’라는 것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