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美대사 속도조절론에 “한반도 문제 당사자는 한국”

  • 뉴시스
  • 입력 2020년 1월 8일 12시 04분


"국제사회와 협력하며 남북관계 운신의 폭 넓힐 것"
"남북 협력 위한 현실적 방안 만들어 북한 호응 촉구"
선전매체 김연철 장관 실명 비난에 "상호 존중" 강조

정부는 8일 해리 해리스 주한미국대사의 남북관계 속도조절론과 관련, “북핵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유엔 안보리 결의 등 국제사회와 협력을 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한반도 문제의 당사자는 한국”이라고 강조하면서 북미관계와 별개로 남북관계의 독자적인 공간을 만들어가겠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이상민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해리스 대사의 발언을 평가해 달라는 질의에 “대사의 발언에 대해서 정부가 일일이 평가한다는 것은 적절하지 않을 것 같다”면서도 이같이 답했다.

이 대변인은 “우리나라가 한반도 문제의 당사자인 만큼 남북관계에 있어서 운신의 폭을 넓혀 나가면서 우리가 독자적으로 해나갈 수 있는 일은 최대한 진전시켜 나간다는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해리스 대사는 전날 KBS 인터뷰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 제안과 관련해 “우리는 남북관계의 성공이나 진전과 더불어 비핵화를 향한 진전을 보길 원한다. 그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남북관계 진전이 비핵화와 속도를 맞춰야 한다는 속도조절론을 꺼낸 것이다.

앞서 문 대통령은 신년사를 통해 김정은 국무위원장 답방 여건을 마련하기 위해 남북이 함께 노력하자며 접경지역 협력, 도쿄올림픽 단일팀 구성, 비무장지대(DMZ) 유네스코 세계유산 공동 등재 등 교류협력 사업을 제시했다.

정부는 문 대통령의 제안을 구체화하는 한편, 북측의 호응을 촉구할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 대변인은 “앞으로 유관부처와 긴밀한 협의를 통해서 남북 협력을 위한 현실적인 방안을 만들어나갈 계획”이라면서 “북측의 호응을 촉구하는 그런 방안을 만들어나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북한 선전매체가 김연철 통일부 장관의 실명을 거론하며 ‘핫바지 장관’이라고 비난한 데 대해서는 공식 언급을 자제하면서도 상호 존중 정신을 강조했다.

이 대변인은 “북한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니고 선전매체이기 때문에 정부가 일일이 언급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면서도 “남북관계는 상호 존중과 신뢰의 바탕 위에서 추진되어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