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환 전북교육감이 마스크 착용에 회의적인 입장을 내비치는 글을 페이스북에 써 논란에 휩싸였다.
논란의 발단은 지난달 28일 김 교육감이 페이스북에 올린 사진과 글이다.
그는 전북교육청 코로나 바이러스 대책본부를 찾아간 사진을 올리며 “간식을 준비해 놓도록 한 후 대책본부의 직원들을 만나러 갔다. 함께 먹을거리를 나누며 격려하는 시간! 그 시간을 가득 채운 분위기는 평화로움과 안정감이었다"고 적었다.
사진 속 직원들은 모두 마스크를 쓰지 않은 상태였다. 김 교육감 역시 마스크를 쓰지 않았다.
이에 누리꾼 A 씨가 “교육청에서 확진자가 나오면 전북 교육이 마비된다. 회식이나 소모임 자제 부탁한다”는 댓글을 달았다.
그러자 김 교육감은 “이 시기에 거의 모든 사람이 마스크를 써야 하는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모든 사람을 잠재적 감염자로 봐야 하기 때문인가? 회식이나 소모임을 자제해 달라는 이유는 무엇인가? 호흡기 상태가 안 좋은 사람들에게 마스크는 도리어 해롭다”라고 답했다.
A 씨는 “시기가 시기인 만큼 조심해서 나쁠 것 없다”며 “코로나는 비말전염인데 서로 마주보고 앉아 이야기하고 음식섭취하고…지금 같이 확진자가 3000명이 되어가는 시점에서 자신과 서로를 위해서 마스크 쓰는 것은 필수다. 호흡기 상태가 안 좋으면 마스크를 더 써야한다. 걱정스러워 드린 말씀인데 교육감님의 마스크에 대해 생각하시는 바를 알게됐다”고 적었다.
이에 김 교육감은 “다른 어느 나라보다 우리나라의 ‘공포 바이러스’(fear virus)가 집단화되어 가고 있다”고 답했다.
김 교육감은 지난 1일에는 “건강하면 마스크를 쓰지 마라”는 제목의 기사를 페이스북에 올리기도 했다.
전국 유·초·중·고 개학이 연기되는 초유의 상황에 도교육감의 이런 견해 피력은 아쉽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 마스크 착용에 대한 김 교육감의 회의적 시각이 직원들에게도 영향을 미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이와 관련 전북교육청 관계자는 “마스크 착용은 본인 스스로 자율적으로 판단하라는 게 김 교육감의 생각이다”며 “의무적으로 착용하게 하거나, 착용하지 못하게 한 적이 없다”고 해명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