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통합당 공천관리위원회 이석연 부위원장은 12일 “최고위원회에서 공관위 결정에 대해 이의가 있으면 재의를 요구할 수 있고, 공관위는 다시 당헌·당규에 따라 재의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부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당 최고위원회에 공천심사 경과를 보고하기 전 기자들과 만나 황교안 당대표가 일부 지역구 공천은 조정이 필요하다는 취지로 언급한 데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황 대표가 일부 지역 조정을 언급한 건 공관위에 태클을 건 것 아니냐는 취지의 질문엔 “그럼 정식으로 재의 절차를 거쳐서 논의하겠다”고 답했다.
당 지도부에서 일부 공천 결과를 재검토하기로 방침을 정한 것을 두고 정면으로 반박하기보단 당헌당규에 따른 ‘원칙대로’ 처리 입장을 밝혔지만, 공관위가 최고위로부터 재의를 요청받더라도 공천 명단을 수정하지 않고 그대로 돌려보낼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다.
통합당 상임선거대책위원장으로 유력하게 거론되는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일부 공천 결과를 문제 삼는데 대해선 “(공관위와 선대위는) 상관 없다. 공관위와 별개”라고 선을 그었다.
앞서 김형오 공관위원장은 후보자들이 공천심사에 불복해 재심을 요청해도 결과는 바뀌지 않을 것이라는 취지로 언급한 바 있다.
이 부위원장은 “공관위에서 어떤 결정을 내릴지, 그건 충분히 논의할 것”이라며 “모든 것은 당헌·당규에 의해 결정할 것”이라고 원론적으로 언급했다.
김형오 공관위원장의 ‘사천 논란’에 대해선 “저나 다른 공관위원들이 사천한다는 걸 용납하겠나? 그런 추측성 보도에 대해서 우리가 일일이 흔들려서도 안 되고 나중에 유권자들이 표로써 심판한다”고 강조했다.
김종인 전 대표가 선대위원장으로 임명되면 공천 결과가 뒤바뀔 가능성에 “공천권을 선대위원장이 달라고 하는 건 조금…”이라고 말끝을 흐리며 사실상 부정적인 늬앙스를 풍겼다.
이 부위원장은 최고위에서 공천경과 보고를 마친 후 기자들에게 “공관위 공천 결정에 대해서 최고위가 이의가 있을 경우 당헌·당규에 따라서 재의해주시고, 그럼 공관위는 다시 당헌·당규에 따라서 다시 논의하겠다고 말씀드렸다”고 전했다.
또 “호남지역 공천 관련해서 호남지역은 당에서 반드시 신경을 써달라, 왜냐하면 전국 정당을 지향하는 이런 상황에서 호남에 적어도 지역구 후보자는 내야 된다”고 최고위에 건의했다.
그는 보수 정당의 호남 공천 필요성에 대해 “호남 전체 득표율과도 관련 있고, ‘안철수당(국민의당)’이 지역구 후보를 안내는 상황에서 현 정권에 비판적인 호남 유권자들을 끌어들여야 된다”며 “35%에 달하는 수도권 호남 출신 유권자들의 표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래서 여러가지 방안을 강구해달라, 공관위도 방안을 논하겠다고 했고, 당에서도 지원의사를 밝혔다”고 설명했다.
최고위에서 공천심사 재의를 요청한 지역구를 묻는 질문에 “그건 제가 모르는 상황”이라며 “오늘 3차 공관위 추천 공천확정자를 전달했기 때문에 1,2,3차까지 논의를 하게끔 했다”고 즉답을 피했다.
‘어떤 지역에 대해 재고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냐’는 취지의 거듭된 질문에도 “그건 저한테 지금 최고위에서 요청할 사안이 아니다”라며 “정식으로 재의 절차를 밟아서 공관위에 요청할 사안”이라고만 했다.
일부 예비후보들이 재심을 요청하며 공개적으로 반발한 것에 관해선 “공관위에서 재심이 들어온 건 지금까지 다 보고 있다”며 “공관위 공정소위에서 공관위 전체위원회로 보고해서 결과에 따라서 처리하고 있다. 우리가 다 심의해서 논의하고 결과는 당사자한테 통보하고 있다”고 말했다.
공천이 확정된 지역구에서 결과가 번복될 가능성엔 “그건 공관위 논의를 해봐야 하는데, 공관위가 그동안 오랫동안 논의하고 심사숙고하고 여론에 귀 기울이고 국민 눈높이를 참작했다”며 “재의 요구가 오면 공관위는 논의하겠다”고 했다.
그는 “당에서 공천자들한테 공천장을 수여할 때 반드시 서약서를 받아달라고 했다”며 “의회 혁신을 위해서 국회의원이 되면 기득권 내려놓겠다, 세비 삭감 법안 만드는 데 앞장서고 그 법안이 완성될 때까지 세비 30% 내겠다는 것, 보좌관 수 줄이고 국회에서 물의를 빚는 발언을 하면 세비전액 반납 등 공천장 수여할 때 반드시 서약서를 받도록 하고, 후보들은 유권자들한테 (서약서를 공개해) 선거운동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보고 그 뜻을 전했다”고 덧붙였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