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취논란’ 홍남기 “자리 연연하는 사람으로 비칠까 걱정”

  • 뉴시스
  • 입력 2020년 3월 12일 23시 38분


여당 추경 증액 요구에 난색 표하며 갈등설 불거져
이해찬 "해임건의" 격노한 날 늦은밤 SNS에 심경글
"무엇이 국가경제 위한 건지…차가운 머리 필요한 때"
원격지료도 언급…코로나19 계기 전향적 논의 희망"

12일 여당의 추가경정예산(추경)안 증액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아 ‘해임론’까지 거론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혹시나 자리에 연연해하는 사람으로 비쳐질까 걱정”이라고 심경을 밝혔다.

홍 부총리는 이날 늦은 시간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같이 썼다. 앞서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추경 규모를 대폭 확대하자는 요구에 난색을 표한 홍 부총리에게 “해임 건의를 검토할 수 있다”고 말해 논란이 된 바 있다. 이 대표는 당시 홍 부총리를 이같이 질타하면서 격노했다고 일부 언론이 전했다.

특히 전날(11일)에는 홍 부총리가 추경안 증액과 사업 조정을 논의하는 당·정·청 회의에도 참석하지 않아 ‘패싱’ 논란이 일기도 했다. 홍 부총리는 이날 같은 장소인 국회에 있었지만 예결위 정책질의를 준비했다고 한다.

당·정·청 회의에는 김용범 기재부 1차관이 참석했다. 때문에 여당이 국회의 예산안 증액 동의 권한을 갖고 있는 홍 부총리를 사실상 건너뛰려고 하는 게 아니냐는 뒷말이 나왔다.

홍 부총리는 페이스북 글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로 인한) 위기를 버티고 이겨내 다시 일어서게 하려고 사투중인데 갑자기 거취 논란이…”라고 썼다.

또 여당의 추경 증액 요구를 겨냥한듯 “과연 무엇이 국가경제와 국민을 위한 것인지 매 순간 순간 치열하게 고민했다”며 “지금은 우리 모두가 뜨거운 가슴 뿐만 아니라 차가운 머리도 필요한 때”라고 했다.

그는 “추경 규모는 9.1% 늘어난 금년 기정예산, 2조원의 목적예비비(일반예비비까지 3조4000억원), 정부·공공·금융기관들의 20조원 기(旣) 발표 대책, 추경 대상사업 검토 결과 그리고 재정 뒷받침 여력 등까지 종합 고려해 결정 후 국회 제출된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기재부는 어려운 계층 지원도, 경제 살리기도, 재정지원의 합리성·형평성도, 그리고 재정건전성과 여력도 모두 다 치밀하게 들여다보고 또 감당할 수 있는 수준에서 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여당은 정부에 6조원대 이상 증액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기재부는 재정건전성 악화 등을 이유로 이 정도 수준의 증액에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그는 비슷한 시간에 다른 글을 통해 원격진료 허용 문제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홍 부총리는 “지금의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정부와 의료계도 허용·금지라는 이분법적 사고에서 벗어나는 계기가 되길 희망한다”며 “함께 머리를 맞대고 전향적 논의를 시작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그는 “왜 우리는 세계적 수준의 정보통신기술(ICT)을 가졌음에도 특히 의료분야에 적용이 잘 안 되는 것일까”라며 “지난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 크루즈선에 갇혀 있던 한국인들에게 화상진료를 통해 심리적 안정을 주고 스트레스 관리, 건강상황 모니터링과 진단키드, 처방약 등을 배송했더라면 어땠을까 상상도 해본다”고 적었다.

이어 “코로나19 사태시 보여준 자가진단 어플리케이션(앱), 확진자 동선정보를 알려주는 코로나맵 개발사례만 보더라도 우리 ICT의 잠재력은 무궁무진하며, 의료를 결합시 그 활용도는 더욱 커질 것”이라고 했다.

또 “의료진들이 대구·경북 등에 집중 투입됐을 때 원격진료는 일반 진료를 위한 좋은 보완재가 될 수 있지 않은가”라며 “유사 사태시 혈압·당뇨 등 질환에 대한 일반 진료와 처방은 원격진료로도 가능하며 환자격리, 의료진 감염 보호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개인의료 데이터 수집-분석-활용과 원격진료 등 디지털 헬스케어는 궁극적으로 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관리할 수 있다는 차원에서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원격진료 도입시 국민의 건강과 개인정보 보호 등이 문제가 된다면 미국, 일본 등의 도입 사례와 부작용, 문제해결 과정들도 참고해 해결책을 찾아보는 것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세종=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