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 공중보건비상사태 30일 연장…“위험 증가 의미 아냐”

  • 뉴스1
  • 입력 2020년 4월 24일 10시 05분


주한미군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위해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한 가운데 26일 서울 용산구 주한미군기지에서 미국인들이 휴식을 취하고 있다. 주한미군 사령부는 지난 25일 보도자료에서 세계보건기구(WHO)가 세계 위험도를 ‘매우 높음’으로 격상하고, 미 국무부가 4단계 여행경보(전세계 여행금지 권고)를 선포하고 주한미군 시설 인접 지역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노출 가능성이 높아진 점을 이유로 설명했다. 2020.3.26/뉴스1 © News1
주한미군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위해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한 가운데 26일 서울 용산구 주한미군기지에서 미국인들이 휴식을 취하고 있다. 주한미군 사령부는 지난 25일 보도자료에서 세계보건기구(WHO)가 세계 위험도를 ‘매우 높음’으로 격상하고, 미 국무부가 4단계 여행경보(전세계 여행금지 권고)를 선포하고 주한미군 시설 인접 지역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노출 가능성이 높아진 점을 이유로 설명했다. 2020.3.26/뉴스1 © News1
주한미군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현재 시행 중인 공중보건비상사태를 30일 연장한다고 24일 밝혔다.

주한미군 사령부는 이날 페이스북에 낸 성명에서 “공중보건비상사태를 오늘부터 30일 연장해 이전에 갱신 또는 종료하지 않는 한 5월23일까지 효력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주한미군은 지난달 25일 주한미군 시설 인접 지역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 노출 가능성이 커지면서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했고, 당초 23일을 기해 만료될 예정이었다.

주한미군은 이번 비상사태 연장 결정으로 현재 시행 중인 보건방호태세 및 예방완화조치가 변경되는 것은 아니며 이것이 기지 내 위험 수치가 증가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전체 주한미군 관련 인원 5만8000명 중 코로나19에 감염된 비율은 1%도 안되지만, 위험은 여전히 남아있다”고 평가했다.

주한미군은 “하지만 그럼에도 매우 소수의 일부 인원은 여전히 엄격한 통제조치를 따르지 않고 있다”며 지금까지 총 7명의 주한미군 소속 민간인이 통제 위반으로 기지 출입 금지 2년 처분을 받았음을 상기시켰다.

주한미군 관계자는 “군을 방호하기 위한 신중한 예방조치를 이행하고 유지할 것”이라며 “어떠한 적이나 위협으로부터 한국을 지키기 위해 전투태세를 유지하고 굳건한 연합방위태세를 갖추는 데 전념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