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위 수락’ 김종인 “할일 다했다고 생각하면 그만둘 것”

  • 동아닷컴
  • 입력 2020년 4월 24일 16시 20분


김종인 전 미래통합당 총괄 선대위원장이 24일 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직을 수락했다. 사진=뉴시스
김종인 전 미래통합당 총괄 선대위원장이 24일 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직을 수락했다. 사진=뉴시스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직을 수락한 김종인 전 총괄 선대위원장은 24일 “비대위원장 임기는 1년보다 더 짧을 수도 있다. 할 일을 다 했다고 생각하면 언제고 그만두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전 위원장은 이날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바른사회시민연합 주최로 열린 ‘21대 국회 어떻게 해야 하나’ 토론회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비대위원장) 임기를 정확히 할 필요가 없다”며 “내가 자발적으로 그런 것(비대위원장직)을 추구하는 사람도 아니다”라고 밝혔다.

비대위원장을 맡게 된 배경에 대해서는 “당의 사정을 생각해서 도와줬으면 좋겠다는 얘기가 있었다”며 “통합당 상황이 나를 꼭 필요로 한다는 의견이 모이면 내가 조금 힘들어도 생각해보겠다고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어제 (심재철 통합당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와의) 전화 통화에서 수락을 결정했다”며 “‘비상 상황 종료’ 시점은 일하다가 봐야지 미리 이야기할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김 전 위원장은 “임기를 정확하게 할 필요가 없다”며 “나는 통합당을 돕는 입장에 있는 것이지, 추구할 게 아무것도 없다”고 강조했다.

정부·여당이 긴급재난지원금을 전국민에게 지급하는 것에 대해서는 “정부가 (재난지원금을 지급할) 여러 방도가 있는데 마치 야당 때문에 안 되는 것처럼 할 필요가 없다”며 “긴급재정명령권을 발동해 내일이라도 당장 지급하면 그만인데 골치 아프게 생각할 것 없다”고 했다.

앞서 통합당은 4·15 총선 참패로 무너진 당을 수습하기 위해 김 전 위원장을 필두로 하는 비대위 체제를 추진했다.

김 전 위원장은 대권 후보를 만들 때까지 전권을 준다면 비대위원장직을 맡겠다는 조건을 달았다. 해당 요구가 ‘무기한 전권’(임기 제한 없는 전권)을 달라는 것으로 해석되면서 당 내외에서는 반발이 일기도 했지만, 당 지도부는 고심 끝에 김 전 위원장의 뜻을 받아들이기로 했다.

통합당은 비대위 임기 규정에 관한 당헌·당규 개정 절차에 돌입한다. 기존 당헌·당규에는 오는 8월 말까지 차기 대표를 뽑는 전당대회를 열게 돼 있지만, 비상 상황인 점을 고려해 전당대회 일자와 관련한 한시적 부칙을 상임전국위원회에서 수정해 원래 비대위 규정에 적용하도록 할 방침이다.

장연제 동아닷컴 기자 jej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