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국무총리는 28일 “정부는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상황이 좀 더 안정화되면 내수진작을 위해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 총리는 이날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세계 경제가 언제 나아질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소비·투자활성화를 통해 경제 회복의 돌파구를 찾는 것이 절실하다”며 이렇게 말했다.
정 총리는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에도 불구, 우리나라는 코로나19의 확산을 차단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극단적 봉쇄없이 큰 고비를 넘어설 수 있었던 것은 국민 여러분의 협조와 의료진의 헌신 덕분”이라며 “정부는 긴장을 늦추지 않고 코로나19와의 싸움에서 최종 승리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정 총리는 “IMF는 올해 우리나라의 성장률을 1998년 외환위기 이후 가장 낮을 것으로 전망했고, 민간소비의 급격한 위축으로 1분기 성장률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대 감소 폭을 기록했다”고 지적했다.
정 총리는 “정부는 소상공인, 자영업자, 대·중소기업 등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32조원 규모의 실물경제지원 대책에 이어 172조원 규모의 금융안전대책을 추진하고 있다”며 “하지만 코로나19의 여파가 지속돼 광범위한 계층에서 피해가 발생해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지원에 한계가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정 총리는 “정부는 소득 상위 30%를 제외한 가구에 4인가구 기준 100만원의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하는 7조 6000억원의 추경안을 편성해 국회에 제출했다”며 “고소득자 등이 자발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제도 도입과 함께 지급대상을 전체 가구로 확대하는 방안을 논의해 결정해주신다면 정부는 국회의 심의 결과를 겸허히 수용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