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일방적인 남북 통신선 폐쇄 결정에도 정부는 남아있는 남북 연락채널을 최대한 동원해 소통의 끈을 놓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북한이 9일 낮 12시부터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와 군 통신선, 통신시험시설, 청와대와 북한 국무위원회 간 직통전화(핫라인)을 폐쇄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남은 남북 직통 연락선은 국가정보원과 통일전선부 채널 정도다. 한 소식통은 “북한이 끊겠다고 한 것은 공개된 소통 창구이고 해외 접촉이나 정보당국 간 물밑 연락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2000년 남북 정상회담 이후 연결된 국정원과 통전부 간 채널은 이명박 정부 들어 단절됐다가 2018년 북한이 평창 겨울올림픽 고위급 대표단으로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을 파견하는 과정에서 복원됐다. 남북은 정상 간 친서 교환이나 특사 파견 의사를 타진하는 과정에서도 이 채널을 활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북한이 “남조선 것들과의 일체 접촉 공간을 완전 격폐하기로 결심했다”고 한 만큼 북이 한동안 정보당국 채널에 응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이 경우 북-미 유엔대표부를 통하는 ‘뉴욕 채널’이나 판문점에 설치된 유엔군사령부와 북한군 간 직통전화 등 우회로를 활용할 수 있다. 실제로 9일 유엔사와 북한군 간 직통전화는 평소처럼 일상적인 통신점검이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해외 공관을 통한 남북 접촉이나 중국을 통한 소통도 시도해볼 수 있다. 김인철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미국과 상시 긴밀히 소통 중이며 관련국과도 필요에 따라 소통해 나갈 예정”이라고 했다. 정세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은 라디오에서 “급한 일이 있으면 판문점을 통해 통지문을 주고받는 식으로 남북 회담은 또 살려낼 수 있다”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