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전사자 확인에 유족 DNA 중요…채취 적극 참여 당부”

  • 뉴시스
  • 입력 2020년 6월 26일 11시 26분


코멘트

"미확인 유해, 가족 품 돌아가도록…시료 채취 강력 소망"
발굴史 25년 동안 가족 찾은 유해 149구…1.41%에 불과
방문 채취, 확인시 최대 1천만원 포상…DNA 확보 총력
"정부, 마지막 한 분 유해 찾을 때까지 모든 노력 다할 것"

청와대는 26일 어렵게 6·25전쟁 국군전사자의 유해를 발굴하고도 신원이 확인되지 않아 가족 품으로 돌려드리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유가족들에게 DNA 시료 채취 작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줄 것을 당부했다.

윤재관 청와대 부대변인은 이날 오전 춘추관 브리핑에서 “발굴된 유해를 가족의 품으로 모시기 위해서는 신원 확인에 필요한 유가족의 DNA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며 “아직도 신원 확인을 못한 유해들을 가족의 품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DNA 채취 작업에) 많은 호응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6·25전쟁 70주년을 맞아 더많은 유가족분들이 DNA 시료 채취에 참여하기를 정부는 강력하게 소망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도 지난 6일 현충일 추념식에서 허욱구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장에게 “유족들이 유전자를 제공할 수 있도록 많이 홍보를 해줘야 한다”고 지시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은 취임 당시 100대 국정과제 중 하나로 적극적인 유해발굴사업을 선정한 이후 노력을 기울여왔다. 9·19 남북군사합의서에 비무장지대내의 시범적으로 남북유해공동발굴을 진행한다는 내용을 담아냈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은 9·19군사합의에 기초해 DMZ 화살머리고지 일대에서 2018년 376구, 2019년 630구의 유해를 발굴했다. 여기에는 국군전사자 뿐만아니라 미군·프랑스군의 유해도 섞여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게 군 당국의 판단이다.

이를 위해 발굴한 유해의 신원을 확인해야 하는데 정작 대조할 DNA가 턱없이 부족해 유가족 품으로 돌려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25년 간 남북, 한미 공동유해발굴 사업 끝에 국군유해 1만543구의 유해를 발굴했고, 현재 국립현충원 내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에서 보관 중이다.

이 가운데 유전자 대조로 신원을 확인해 유가족에게 돌려드린 경우는 총 149구(2018년 4구·2019년 8구·2020년 11구)에 불과하다. 확률로 따지면 1.413%에 불과한 셈이다. 이 마저도 현재까지 확보한 5만 6417개의 유가족의 DNA 시료가 있어 가능했다.

신원이 확인된 유해 가운데에는 6·12 싱가포르 1차 북미정상회담의 합의에 따라 북한이 미국에 송환했다가 지난 24일 다시 한국으로 봉환된 7구의 신원 확인 유해(총 147구 봉환)도 포함돼 있다.

문 대통령은 전날 이들 국군전사자 유해 봉환식과 병행한 6·25전쟁 제70주년 행사에 참석, 각별한 예우의 뜻을 전했다. 문 대통령은 고(故) 김동성 일병, 고 김정용 일병, 고 박진실 일병, 고 정재술 일병, 고 최재익 일병, 고 하진호 일병, 고 오대영 이등중사를 일일이 호명하면서 “이름을 역사에 새겨넣겠다. 가족의 품에서 편히 쉬시길 기원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올해도 신원 확인에 필요한 유가족 DNA 확보를 위해 총력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에 이어 유가족 대상으로 한 시범적으로 방문 채취를 진행하고, 신원이 확인될 경우 최대 1000만원의 포상금을 지급하고 있다.

이와는 별도로 DMZ 내 남측 지역에서의 국군전사자 유해발굴사업도 계속 진행해 나갈 예정이다. 36개 부대, 10만 명의 인력을 투입할 방침이다.

윤 부대변인은 “문재인 정부는 마지막 한 분의 유해를 찾을 때까지 유해발굴사업과 관련한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