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이 오는 18~28일 한미연합군사훈련을 실시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위한 연습도 이뤄진다.
합동참모본부는 16일 오전 “한미동맹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 등 제반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이번 연합지휘소훈련을 8월18일부터 28일까지 시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합참은 또 “이번 훈련은 연합방위태세 유지에 중점을 둘 것이며 전작권 전환 이후 미래 연합사 구조를 적용한 예행연습을 일부 병행하게 될 것”이라고 훈련 내용을 설명했다.
당초 한미 군 당국은 16일부터 훈련을 시작할 예정이었지만 지난 15일 수도권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자 훈련 개시일을 전격 연기했다. 이번 훈련 참가를 위해 대전 자운대에 파견됐던 20대 육군 간부 1명이 코로나19에 확진된 것도 훈련 개시일 연기에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졌다.
그간 논란이 됐던 전작권 전환을 위한 절차가 이번 훈련에 포함된 점 역시 눈길을 끈다.
우리 정부는 이번 한미연합훈련 시 전작권 전환 작업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미국 측은 전작권 전환보다 대북 군사 대비 태세를 다지는 데 집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앞서 한미 정부는 한국군의 연합작전 능력, 초기 북핵·미사일 위협 대응 능력, 한반도 주변 정세 등 3대 조건이 충족되면 전작권을 전환하기로 합의했다.
또 전작권을 전환하라면 우리 군 장성이 지휘할 미래 연합 사령부에 대한 기초운용능력(IOC), 완전운용능력(FOC), 완전임무수행능력(FMC) 등에 대한 3단계 검증 평가가 마무리돼야 한다. 지난해 훈련에서 1단계 절차인 기본운용능력 검증이 끝났다. 올해 2단계인 완전운용능력에 이어 내년 마지막 단계인 완전임무수행능력을 검증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