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이란 악재 속에서 진행된 올해 첫 대규모 한미연합훈련이 28일 종료된다.
훈련 인원 중 확진자는 나오지 않았지만, 코로나19 사태로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을 위한 검증 작업은 계획대로 이뤄지지 못했다.
군 당국에 따르면 컴퓨터 시뮬레이션 방식의 연합지휘소훈련(CCPT)은 이달 18일~22일 1부 방어 훈련, 24일~28일 반격 훈련 및 강평 일정으로 실시됐다.
훈련에서 한미 군 당국은 전구급 연합대비태세 점검과 전작권 전환 이후 미래연합군사령부 구조를 적용한 예행연습에 주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훈련은 시작 전부터 우여곡절이 많았다. 훈련 참가 인원 중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훈련 시작일이 이틀 연기됐다. 또 방역 차원에서 훈련참가 인원은 줄고 야간 훈련은 생락됐다.
특히 미 본토 증원 병력과 주일미군 병력 등이 코로나19 때문에 한국에 입국하지 못하면서 훈련 규모가 전반적으로 축소됐다.
이 때문에 올해 훈련에서 목표로 했던 미래연합사의 완전운용능력(FOC) 검증이 계획대로 이뤄지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미는 전작권 전환에 따라 새롭게 구성되는 미래연합사 임무 수행 검증을 위해 Δ1단계 기초운용능력(IOC) 검증 Δ2단계 FOC 검증 Δ3단계 완전임무수행능력(FMC) 검증을 차례로 진행 중이다.
군 당국은 내년 상반기 훈련에서 FOC 검증을 마무리하고, 내년 후반기 훈련에서 FMC 검증을 통과해 전작권 전환을 일정대로 끝내겠다는 입장이다. 정부는 전작권 전환 완수 시점을 문재인 대통령 임기 내인 2022년으로 공약했다가 현재는 ‘조기 전환’으로 입장을 선회한 상태다.
한편, 훈련에 참가한 육군 1군단에선 지난 26일 코로나19 확진자 나오기도 했다. 다만 훈련 참가자는 아니어서 훈련은 정상적으로 실시됐다. 이 밖에 훈련 참가인원 중 확진자는 나오지 않았고 군 당국은 설명했다.
군은 훈련 기간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코로나19 안전훈련통제 태스크포스(TF)’를 편성해 구체적인 방역계획을 수립·시행해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