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가 14일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개소 2주년을 맞아 “하루 속히 연락사무소가 재가동이 되고 남북 간 연락채널이 복원되길 희망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여상기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지금 연락사무소 경영이 중단돼 남북 간 기본적인 연락체계도 갖추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 것에 대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2018년 9월14일 4·27 판문점선언에 따라 남북 간 상시 소통을 위해 설치된 개성 남북연락사무소는 남북 인원이 한 공간에 상주하는 첫 연락 채널이었다. 그러나 지난해 2월 하노이 북미회담이 결렬되면서 북측의 불참은 지속됐고 남북 간 경색 국면은 이어졌다.
그러다 북한은 대북전단(삐라) 살포를 문제 삼아 지난 6월 9일 일방적으로 남북 간 모든 통신연락선을 차단했다. 이어 같은 달 16일에는 연락사무소를 폭파시켰다. 이날 연락사무소 개소 2주년을 맞았지만 연락사무소가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아 기념조차 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
여 대변인은 ‘향후 연락사무소 소속 남측 조직과 인력의 운영 방향’을 묻는 취지의 질문에는 “현재 조직은 유지되고 있다”면서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지는 논의가 필요한 사항”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