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흑서’로 불리는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나라’의 공동저자인 서민 단국대 의대 교수가 페이스북 통해 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사과문을 풍자하는 글을 올렸다.
서 교수는 지난 13일 집안일을 하다 현관분을 부순 남편이 아내에게 전하는 사과문 형식의 글 ‘제목 여보 미안해’를 통해 앞서 추 장관이 아들 군 복무 시절 특혜 의혹을 해명한 페이스북 글을 하나하나 비꼬았다.
서 교수는 “여보 내가 오늘 아침 급히 나가다가 현관문 부쉈잖아. 먼저 여보한테 미안하단말 올릴게. 그동안 내가 인내하며 말을 아낀 건 문 수리하는 아저씨가 왔을 때 영향을 주면 안된다는 우려 때문이었어”라고 했다.
추 장관이 사과문에서 “먼저 국민께 정말 송구하다. 제가 그동안 인내하며 말을 아껴온 것은 법무부 장관으로서 현재 진행 중인 검찰 수사에 영향을 줘서는 안 된다는 우려 때문”이라고 말한 것을 빗댄 것이다.
서 교수는 추 장관이 “제 아들은 입대 전 왼쪽 무릎 수술을 받았었다. 엄마가 정치적 구설에 오를까 걱정해 기피하지 않고 군 입대를 한 것”이라고 주장한 부분은 “사실 내가 얼마 전부터 발에 무좀이 생겼어. 나을 때까지 재활용을 안할까도 생각해 봤지만, 아내를 학대한다고 구설에 오를까 걱정해 기피하지 않고 재활용을 버린 거야”라고 비꼬기도 했다.
서 교수는 또 “양손에 재활용 쓰레기를 들고 있었지만, 현관문을 여닫을 땐 규정된 절차대로 했다”며 “여보의 의심대로 내 잘못이 있었는지에 관해서는 문 수리 아저씨가 조사할 테지만, 이것만은 말할 수 있어. 난 원칙주의자라 어떤 급한 상황에서도 원칙을 지켜 문을 열고 닫았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는 것을”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현관문은 나중에 고쳐도 되지만, 검찰개혁은 지금 아니면 못한다는 거, 여보도 잘 알고 있지? 기필코 완성하자. 검찰개혁”이라고 덧붙였다.
추 장관이 “어떤 역경 앞에서도 원칙을 지켜왔다. 이 원칙은 지금도, 앞으로도 목숨처럼 지켜갈 것”이라면서 “검찰개혁 과제에 흔들림 없이 책임을 다하는 것이 국민의 뜻이고 저의 운명적 책무라고 생각한다. 기필고 검찰개혁을 완성하겠다”고 아들 의혹과 다소 동떨어진 주제를 언급한 것을 풍자한 것이다.
서 교수는 댓글을 통해 “사과문 잘 쓰시는 분이 계셔서, 그 분 흉내내본 것이다. 아내가 어찌나 감동하던지”라고 설명했다.
댓글 13
추천 많은 댓글
2020-09-14 20:01:14
검찰개혁? 윤석렬 자르는게 목적이지? 윤석렬 목 자르면 검찰개혁 끝.
2020-09-14 21:35:00
풍자가 뛰어나요
2020-09-14 22:39:01
누구를 위한 검찰개혁이며 누구를 구하기 위한 공수처 신설인가가 훤히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