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 “대깨문들, 원균-허균 구분 못해…웃음 나오네”

  • 동아닷컴
  • 입력 2020년 10월 22일 09시 41분


서민 단국대학교 교수. 사진=동아일보 DB
서민 단국대학교 교수. 사진=동아일보 DB
‘조국흑서’ 공저자 서민 단국대 교수가 22일 친여(親與) 성향 온라인 커뮤니티 회원들이 조선시대 무신 ‘원균’과 문신 ‘허균’을 구분 못한다고 헛웃음을 지었다.

서 교수는 이날 페이스북에 ‘웃어봅시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리고 자신의 발언을 풍자한 누리꾼들을 역으로 비판했다.

앞서 서 교수는 지난 19일 YTN라디오 ‘황보선의 출발 새아침’에 출연해 더불어민주당 차기 서울시장 후보에 적합한 인물을 언급했다.

당시 그는 “박주민 의원은 세월호 참사 진상을 규명하겠다고 국회의원이 됐는데 세월호 관련해 한 일이 별로 없다”, “추미애 법무부 장관은 법질서를 완전히 무너뜨려서 출마한다면 야당에 유리하다”,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박원순 전 서울시장 사태에서 역할을 한 게 없고, 여성이라는 이유만으로 출마하는 건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박용진 의원과 금태섭 전 의원이 서울시장 후보에 적합한 인물이라고 설명했다.

사진=서민 단국대학교 교수 페이스북 갈무리
사진=서민 단국대학교 교수 페이스북 갈무리


이에 친여 성향 온라인 커뮤니티의 한 누리꾼은 “(임진왜란을 일으킨)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이순신 말고 허균을 내보내라고 종용한 것”이라고 비꼬았다. 서 교수를 도요토미 히데요시에, 박주민 의원과 추미애·박영선 장관을 이순신에, 박용진 의원과 금태섭 전 의원을 허균에 빗댄 것이다.

다만 허균(1569~1618)은 최초의 한글소설인 ‘홍길동전’을 집필한 조선 중기 문인이자 문신이다.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과 갈등을 겪은 무신 원균(1540~1597)을 해당 누리꾼이 잘못 적은 것이다.

이를 두고 서 교수는 이날 “허균이 왜 나오는지 한참 생각했다”며 “댓글이 스무 개 넘게 달리는 동안 아무도 지적 안 했다”고 꼬집었다.

서한길 동아닷컴 기자 street@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