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스가와 첫 화상 대면…“특히 일본의 스가 총리님, 반갑다”

  • 뉴스1
  • 입력 2020년 11월 14일 17시 11분


코멘트
문재인 대통령. /뉴스1 © News1
문재인 대통령. /뉴스1 © News1
문재인 대통령은 14일 오후 화상으로 개최된 제23차 아세안(ASEAN)+3(한중일) 정상회의에서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와 처음으로 다자회의에서 만났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3시30분부터 진행된 아세안+3 정상회의 모두발언에서 “존경하는 의장님, 각국 정상 여러분, 특히 일본의 스가 총리님 반갑다”고 인사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9월24일 스가 총리 취임 축하를 위해 첫 정상통화를 한 후 3개월 만에 이날 다자회의에서 스가 총리와 화상으로 만나게 됐다.

문 대통령은 “우리는 1997년 동아시아 외환위기를 통해 소중한 경험을 얻었다”라며 “한 나라의 위기는 곧 이웃 나라의 위기였고, 공동 대응과 협력의 중요성을 깨달았다. 이는 아세안+3 정상회의가 출범하는 계기가 됐다”고 밝혔다.

이어 “이제 우리는 지난 23년간 쌓아온 협력의 경험을 토대로 코로나에 맞서 연대하고 협력하는 국제 공조의 모범이 되고 있다”라며 “코로나 아세안 대응기금, 필수의료물품 비축제도는 아세안+3가 함께 만들어낸 의미 있는 결과다. 필수 인력의 이동도 물꼬를 열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난 4월 특별 정상회의에서 나눈 아이디어들이 가시적인 성과로 이어지고 있어 매우 뜻깊다”라며 “앞으로도 방역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기업인의 왕래가 더욱 확대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코로나 상황이 길어지면서 우리가 함께 풀어야 할 문제도 늘고 있다”라며 “우리는 보건 협력을 한 단계 더 발전시켜 백신과 치료제 개발과 공평한 보급을 위해 함께 노력하고, 언제든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감염병에 대비해 신속하고 투명한 공조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경제 분야에서도 코로나 이후 시대를 선제적으로 준비해야 한다”라며 “세계 경제는 내년에 코로나 이전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국가 간 회복속도의 차이가 클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한 “보호무역의 바람과 금융시장의 불확실성도 여전하다”라며 “디지털 경제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불평등이 확대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한 나라의 힘만으로는 해결하기 힘든 문제들”이라며 “우리는 경제의 회복력을 강화하고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성장방안을 찾기 위해 지혜를 모으고 협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아세안+3가 코로나 이후 시대, 세계 경제의 희망이 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