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 노동신문=뉴스1)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사업을 진행하는 북한 노동자의 모습.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Redistribution Prohibited] rodongphoto@news1.kr
북한이 9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에 대해 외부에서 제기된 의혹에 발끈했다. 이를 두고 외부 정보 유입에 따른 사회 혼란을 우려하는 북한이 ‘초민감’ 대응에 나선 것이 아니냐는 목소리가 제기된다.
지난 5일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중동지역 안보 대화 ‘마나마 대화’에 참석해 “북한은 여전히 코로나19 확진자가 전혀 없다고 주장하지만 믿기 어렵다”면서 “모든 신호는 북한 정권이 코로나 통제에 집중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라고 언급했다.
북한 당국이 확진자가 없다고 주장하면서도 코로나19 상황을 과도하게 통제하는 것을 두고 “이상한 상황”이라고 지적한 것이다.
이에 북한은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을 등판시켜 강 장관을 직격했다. 김 제1부부장은 “(강 장관이) 중동 행각 중 우리의 비상 방역조치들에 대하여 주제넘은 평을 하며 내뱉은 말들을 구체적으로 들었다”라며 “정확히 들었으니 우리는 두고두고 기억할 것이고 아마도 정확히 계산되어야 할 것”이라고 응수했다.
강 장관의 카운터파트인 리선권 외무상이나 보건성 인사가 아닌 고위급 김 제1부부장이 직접 나선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그만큼 북한이 ‘외부 정보 유입’에 대해 예민해져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최근 북한은 외부 정보 유입을 경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앞서 지난달 29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당 사상 사업 부문을 강화하고 대상기관들에 당의 영도 체계를 더욱 철저히 세울 것”을 강조한 배경에도 외부 정보 유입에 대한 우려가 있었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지난 4일 개최된 최고인민회의 전원회의에서 등장한 법안들도 이러한 분위기를 잘 반영하고 있다. 북한은 해당 전원회의를 통해 ‘반동사상문화배격법’과 ‘이동통신법’을 제정했다.
이 중 반동사상문화배격법은 “반사회주의 사상문화의 유입, 유포 행위를 철저히 막고 우리의 사상·정신·문화를 굳건히 수호한다”는 명목으로 채택됐다. 또 이동통신법은 이동통신 사업 전반을 국가가 관리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북한이 이러한 법 제정을 통해 주민 사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부 정보를 차단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고 보고 있다.
이처럼 북한이 외부 정보 유입에 각별한 신경을 쏟고 있는 배경에는 내부 상황이 안정적이지만은 않기 때문으로 보인다. 국내 코로나19 확진자가 ‘0명’이라는 입장을 줄곧 고수해 오고 있지만, 외부에서 이를 부정하는 의혹이 확산할 경우 내부 혼란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불안감이 클 것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장기간 지속한 국가 봉쇄로 인해 경제난이 심화하고 있어 주민들의 불안과 불만이 누적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북한 당국이 이러한 상황을 관리하기 위해 예정에 없던 대외 메시지를 낸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코로나19 상황이 장기화되며 북한이 언제까지 내부 불안과 불만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일각에선 외부 지원을 받지 않고 ‘자력갱생’에 집중하겠다는 북한의 의지가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는 평가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이에 북한이 앞으로 어떤 선택을 하게 될 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