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2년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북미정상회담의 성과를 내지 못한 책임을 지고 자리에서 대남 총괄 ‘통일전선부장직’을 내려 놓았던 북한 김영철 전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이 다시 통전부장으로 복귀했다. 이에 향후 북한의 대남·대미 기조에 관심이 모아진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1일 전날 열린 노동당 8차 대회 6일차 회의 내용을 전하며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들을 알렸다. 여기서 대남 담당인 당 중앙위 통일전선부장에 김영철 전 당 부위원장이 임명된 것이 확인됐다.
대남 문제를 총괄했던 김 전 부위원장이 당 비서에서 제외되고 당 부장에만 이름을 올렸는데, 이는 북한이 대남 담당 비서를 없애고 당 부장만 둔 것으로 추정되는 대목이다.
3년 전 한반도에 평화의 훈풍이 불던 때 일했던 인사인 김 전 부위원장이 통전부장으로 복귀하면서 남북·북미 대화의 신호로 볼 수 있을지, 반면 대남·대미 강경 기조로 회귀할지 주목된다.
김 전 부위원장은 2018년 통전부장직을 수행할 당시 북미 비핵화 협상의 수석 대표로 활약하며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과 여러 차례 회담을 하는 등 비핵화 협상의 전면에 나섰다. 이듬해 1월에는 미국 백악관을 방문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친서를 전달했다.
그러나 2019년 2월 북미정상회담이 결렬된 뒤 통전부장에서 경질됐다. 2019년 4월10일 노동당 7기 4차 전원회의에서 장금철 통일전선부장이 임명되면서 뒤로 물러섰다. 다만 당 부위원장직은 유지하고 김정은 위원장이 주재하는 주요 회의에 참석해 왔다.
그러다 그는 지난해 6월 북한이 대남 ‘대적 사업’을 진행할 때 김여정 제1부부장과 함께 개성 남북공동연락소를 폭파하며 전면에 나섰다. 당시 부위원장 직책을 지닌 만큼 대남·대미 사업을 총괄하는 것은 당연하기도 하지만 직접 성명을 내는 등 두드러진 활동을 했다.
김 전 부위원장의 통전부장 복귀를 두고 북한이 대미 협상을 맡았던 인물을 재등판시켜 남북미 관계의 돌파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반면 강경한 대적사업의 역할 나선 바 있는 그이기에 북한의 ‘강경 기조’가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김 전 부위원장은 2009년 2월부터 2016년 초까지 북한의 대남 공작 총괄기구인 정찰총국을 이끌었는데, 이 때 발생한 ‘천안함 폭침’ 사건의 책임자가 자신이라고 직접 직접 밝힌 바 있다.
한편 지난해 북미 관계를 타파할 책임을 갖고 있던 대미 라인의 활동은 거의 ‘잠행’에 가까웠는데, 그럼에도 이번 인선에서 리선권 외무상은 정치국 후보위원 자리를 유지했다. 다만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은 당 중앙위원회 위원에서 후보위원으로 강등됐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