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국경을 봉쇄한 지 1년을 넘겼지만, 해소될 기미가 보이지 않으면서 자체적 고립은 지속될 전망이다.
봉쇄 조치가 길어지면서 경제난이 더욱 심화될 것이란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국제기구의 지원마저도 국경을 넘지 못하면서 난항을 겪는 모양새다.
북한은 지난해 1월22일을 기해 외국인 관광객의 입국을 금하고, 1월 말께는 ‘국가비상방역체계’를 선포하고, 항공·열차 등 모든 교통편 운행을 중단했다.
북한의 철저한 국경 봉쇄로 내부 경제 상황은 악화일로를 걸었다. 특히 북한의 최대 교역국인 중국과의 무역 및 밀수로가 원천 봉쇄되면서, 북한의 내부 경제난은 상당하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이는 무역 지표에서도 확연히 드러난다. 중국 해관총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북중 양국의 무역 총액은 5억3905만9000달러(5930억7271만원)로, 전년도 매출 총액인 27억8901만90000달러(3조679억원)에 비해 80.7%나 줄어들었다.
경제 상황이 악화되고 있지만, 북한의 국경 봉쇄 해제 조치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북한은 전 세계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가 1억 명을 넘긴 데다, 변이 바이러스가 출현하면서 긴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31일 ‘전체 인민이 각성하고 또 각성하여 비상 방역 전선을 철통같이 다져나가자’는 특집 기사에서 “어제는 열 번을 확인했다면 오늘은 백번을 확인하는 높은 책임감과 헌신성으로 비상 방역사업의 긴장도를 높여 나갈 때 우리의 방역 진지는 철별의 요새로 더욱 억세게 다져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북한이 굳게 걸어잠근 빗장을 풀지 않으면서 국제기구의 지원도 어려움이 뒤따르고 있다.
유엔 세계식량기구(WFP)는 지난 24일 미국의소리(VOA) 방송에 “국경 봉쇄가 지속되고 있어 물자의 움직임이 없는 상황”이라며 코로나19로 인해 현장 평가 임무를 수행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여기에다가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올해 예산에 북한에 대한 초기 인도적 지원 예산을 배정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VOA에 따르면 EU는 올해 아시아와 남미 지역에 대한 인도주의 지원 예산을 배정했지만 북한은 지원 대상에 포함하지 않았다. 북한이 포함되지 않은 구체적 사유에 대해서는 알려진 게 없지만, 북한 당국의 이동 제한 조치로 내부 상황을 파악하지 못해 북한이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관측된다.
일각에선 북한이 국제기구의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고, 내부 조사가 이뤄지지 않아 추가적인 조치 실행이 어려운 점을 감안할 때 북한 주민들의 경제적 어려움이 더욱 가중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