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자녀 입시의혹 시작으로
김조원 다주택, 김종호 秋-尹 갈등
4년간 4명 모두 논란 중심에 서
“정권 초부터 말까지 그야말로 민정수석이 아킬레스건이다.”
17일 한 여권 인사는 문재인 정부의 전·현직 대통령민정수석비서관들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자녀 입시비리와 사모펀드 의혹 등으로 논란을 일으킨 조국 전 법무부 장관부터 강남 다주택을 끝내 처분하지 않고 물러난 김조원 전 수석, 윤석열 검찰총장 징계 과정에서 벌어진 혼란에 책임을 지고 사표를 낸 김종호 전 수석, 검찰 고위간부 인사 갈등 과정에서 문재인 대통령에게 사의를 수차례 표명한 신현수 수석까지 문재인 대통령 임기 4년간 수석 4명이 모두 논란의 중심에 섰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여권 관계자는 “역대 최장수 민정수석을 지낸 문 대통령 본인이 제일 답답한 심정일 것”이라며 “민정수석들이 이슈의 블랙홀이 돼 버렸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노무현 정부 초대 민정수석이자 2차례 민정수석을 지냈다.
현 정부 들어 가장 논란의 중심에 선 민정수석은 초대 수석인 조 전 장관이다. 조 전 장관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설치 등을 주도하며 여권에선 검찰개혁의 상징적인 인물로 꼽힌다. 하지만 자녀 입시비리 의혹 등에 연루돼 야권으로부터 ‘내로남불’이란 비판을 받았다.
조 전 장관 후임인 김조원 전 수석은 강남 집 두 채를 처분하지 않고 사표를 내 야당으로부터 “직 대신 집을 선택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특히 김 전 수석은 다주택 처분 지침을 받은 이후 잠실 아파트를 시세보다 2억 원 비싸게 매물로 내놓았다가 매각 시늉만 한다는 비판을 받았고 후임 인선 발표 날에도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임명 4개월 만인 지난달 민정수석에서 물러난 김종호 전 수석은 지난해 12월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이 주도한 윤 총장 징계 과정에서 민정수석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에 문 대통령이 민정수석에 비(非)검찰, 비(非)법조인 출신을 잇달아 중용해온 한계가 드러난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고, 지난해 12월 처음으로 검찰 출신인 신 수석을 등용하게 된 배경으로 작용하기도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