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를 앞두고 정치권에서는 서울 영등포구와 부산진구가 여론의 ‘바로미터’로 꼽힌다. 실제로 동아일보가 2010년, 2014년, 2018년 등 앞서 치러진 세 번의 지방선거 득표율을 분석한 결과 서울은 영등포구, 부산은 부산진구에서의 득표율이 각 후보의 최종 득표율과 가장 비슷했다.
○ 엇갈리는 영등포 표심
영등포구 유권자들은 201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까지 포함해 4번의 선거 결과에서 최종 득표율에 근접한 선택을 했다. 2010년 시장선거에서 한나라당(현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는 47.4%, 민주통합당(현 더불어민주당) 한명숙 후보는 46.8%를 얻었다. 당시 영등포구에서 두 후보의 득표율은 각각 47.5%와 46.9%였다.
2018년 시장선거에도 이런 현상은 비슷했다. 당시 영등포구의 투표함을 열어본 결과 민주당 박원순 후보는 52.1%, 자유한국당(현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24.1%를 기록했다. 두 사람의 서울시 전체 득표율과 비교하면 채 1%포인트 차이도 나지 않는 결과다.
이런 영등포구의 특성에 대해 민주당 김영주 의원은 “완전히 보수도, 완전히 진보도 아닌 지역이라 민심의 향배를 보여주는 곳”이라고 했다. 17대 국회에서 비례대표로 입성한 김 의원은 19대부터 이 지역에서 내리 3선을 했다.
영등포는 광화문 등 서울 도심과 가까우면서도 금융회사가 많은 여의도와도 근접해 20, 30대 젊은층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다. 특히 당산동과 양평동 일대는 아파트 단지와 오피스텔 등에 젊은층이 많아 민주당 지지 성향이 강하다. 반면 대형 평수 아파트가 모인 여의도동과 장기 거주 주민이 많은 문래동과 신길동 일부는 보수 성향이 강한 편이다.
실제로 4월 보궐선거를 앞둔 영등포구 유권자들의 반응은 지역별로 엇갈렸다. 도림동에 거주하는 김모 씨(61·여)는 “지난 대선에서 문재인 대통령을 찍었지만 부동산 가격도, 세금도 너무 올라 이번에는 민주당을 찍지 않을 것”이라며 “야권 단일 후보로 결정된 사람에게 투표할 생각”이라고 했다. 반면 당산동에 사는 박모 씨(37)는 “민주당의 실정(失政)이 아무리 크다 해도 아직까지 국민의힘에 대한 거부감이 더 큰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 부산진구, “여론이 모이고 흩어지는 곳”
부산진구는 부산시 지도의 가장 중심에 있는 곳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서부산은 민주당 지지가, 동부산은 야당 지지가 강하다면 부산진구는 선거 결과를 여야가 주고받는 곳”이라고 했다.
실제로 부산진갑의 경우 2016년 총선에서는 민주당 김영춘 후보가 승리했지만, 2020년 총선에서는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 서병수 후보가 탈환에 성공했다. 서 후보는 부산시장 출신이고, 김 후보는 이번 부산시장 선거의 민주당 후보다. 구청장 선거에서도 2014년에는 새누리당(현 국민의힘)이, 2018년에는 민주당이 각각 승리했다.
부산진구는 부산에서도 신축 아파트가 많아 신혼부부 등 젊은층이 많은 곳으로 꼽힌다. 각 구(區)별 인구는 해운대구가 많지만 20, 30대 인구는 부산진구가 가장 많다. 여기에 당감동 부암동 일대에는 호남에서 이사 온 유권자들이 많아 민주당 지지세가 높은 곳으로 꼽힌다. 반면 초읍동 연지동 일대에는 60대 이상 인구가 많아 보수 성향이 강하다는 평가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부산시 전체의 가구 구성과 부산진구 가구 구성이 비슷한 양상”이라며 “부산진구의 표심이 최종 득표율과 가장 유사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고 말했다. 민주당 부산시당 위원장을 지낸 전재수 의원은 “부산진구가 연이어 최종 승자를 맞힌 배경에는 번화가인 서면 등이 있어 여론이 모이고 흩어지는 경향이 강한 것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