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과 황교안 전 미래통합당 대표가 정계 복귀를 선언했다. 정치권에서는 두 사람의 복귀를 두고 불편한 기류도 있다. 법무부 장관 출신 두 정치인이 중도 성향 유권자의 반감을 키워 내년 대선에서 상대 진영을 돕는 ‘X맨’ 역할을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황 전 대표는 3월 10일 페이스북을 통해 “다시 국민 속으로 들어가 문재인 정권에 대한 공분을 나누고 희망의 불씨를 지피겠다”며 정계 복귀를 선언했다. 그는 2월 8일 출간한 대담집 ‘나는 죄인입니다’에서 “윤석열 전 검찰총장을 도울 생각이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추 전 장관 역시 3월 5일 유튜브 채널 ‘김어준의 다스뵈이다’에서 방송인 김어준 씨가 대선 출마 선언 시기와 관련한 질문을 던지자 “내 진심을 다 담아 집중하고 있으면 그 느낌이 올 때”라고 대답하며 출마를 시사했다.
추 전 장관과 황 전 대표는 △윤 전 총장 사퇴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건 △부동산 문제 같은 현안에 견해를 밝히는 등 간접적인 방식으로 지지율을 끌어올리고자 노력하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4·7 재보궐선거 이후 두 사람이 본격적으로 대권 행보에 나설 것이라고 전망한다.
내 편 같은 상대 편?
두 전직 법무부 장관의 대권 도전에 대한 정치권 반응은 시큰둥하다. 여야 강성 지지층으로부터 지지를 받는 인물들인 만큼 ‘중도 확장성’ 측면에서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관측이 나온다.
여론 전문 연구기관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3월 5일 TBS 의뢰로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2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차기 대권 주자 적합도 조사에서 추 전 장관은 2.5% 지지율을 얻었다(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 여론조사와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추 전 장관은 지난해 11월 11일 “(윤석열 전 검찰총장은) 사퇴하고 정치를 해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압박하는 등 ‘정치인 윤석열’을 만든 일등공신으로 꼽힌다. 황 전 대표 역시 21대 총선 참패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다. 두 사람의 정계 복귀 선언에 대해 여야가 말을 아끼는 이유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황 전 대표는 전광훈 목사와 함께 있는 사진이 찍힌 시점에 정치적으로 끝났다”며 “윤 전 총장 역시 황 전 대표 옆에 서 있는 사진 1장만 찍혀도 지지율이 10%p는 빠질 거다. 어떻게 돕겠다는 것인지 영문을 알 수 없다”고 말했다.
댓글 36
추천 많은 댓글
2021-03-14 11:19:37
추미애는 자신의 아들을 지키기 위해서 나서는 것이고..... 황교안은 백의종군한 이순신장군처럼 오직 문재인을 박살내는 역할에 목숨을 걸고 최선을 다하기 바랍니다!
2021-03-14 15:03:40
뭐? 뭐?! 이나라 법치체계를 개판 만들던 醜가년이 정치에 복귀한다고? 얼마나 대가리 속이 無腦하면 자기처지 조차도 인식못하고 날뛰냐?? 그래 복귀하게 그냥 둬라. 그래야 더듬어당에게 점점 악영향을 기치지.
2021-03-14 15:17:44
이뇬은 왜 기어나와 지뇬이 뭔데 시큰둥하고 뭐고해? 염병하네 이 추한뇬좀 안뵜음 소원중 소원이다 지하 세계로 제발 꺼져라 넌 대한민국의 적중에 제일 더러운 적이다 니 아들놈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