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지인에 전화·문자 돌려라” …‘조직 총동원령’ 내린 민주당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3월 21일 18시 02분


“사실상 조직 총동원령이 내려진 상태다.”

더불어민주당 관계자는 21일 서울시장과 관련한 당내 분위기에 대해 이 같이 말했다. 한국 토지주택공사(LH) 사태와 박원순 전 시장 성추문 피해자 기자회견 등 악재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조직표 등 지지층 결집을 통해 돌파구를 마련하겠다는 의도다. 여기에 야권의 단일화 논의가 본궤도에 오르고 있다는 점도 민주당이 ‘조직 총동원령’을 내린 배경이다.

● 이낙연까지 나서 ‘백병전’ 독려


민주당 이낙연 상임선대위원장은 전날(20일) 페이스북을 통해 “선거가 긴박하다. 전화든, 문자로든 가까운 분들에게 호소드리자”고 적었다. 이 위원장은 “저도 전화로 공조직을 독려했다”며 전화 통화에 나선 모습을 담은 사진까지 올렸다. 앞서 이 위원장은 “공중전은 여의도에 맡기고 의원님들과 저는 보병전에 치중했으면 하는 마음”이라고도 했다. 이를 두고 당 안팎에서는 “이 위원장까지 나서 조직 동원을 강조하는 ‘백병전’에 나선 것”이라는 분위기다.

실제로 민주당은 일찌감치 당 차원에서 조직표 동원 캠페인을 진행 중이다. 민주당은 최근 소속 의원과 보좌진, 권리당원 등을 대상으로 ‘연고자 찾기’ 운동을 하고 있다. 보궐선거 후보들이 연락할 수 있도록 서울과 부산 거주 지인들의 연락처를 공유해달라는 취지다. 여권 관계자는 “한 수도권 의원은 5000여 명의 서울 지역 유권자 연락처를 제출하기도 했다”며 “일부 의원실은 보좌진에게 의무 할당량을 정해주기도 했다”고 전했다.

민주당이 조직 총동원령에 사활을 거는 것은 보궐선거의 특성상 투표율이 낮고, 결국 지지층을 얼마나 많이 투표장으로 이끌어내느냐가 승부를 가른다고 보기 때문이다. 민주당 고위 관계자는 “이번 서울시장 투표율은 45%에도 미치지 못할 것 같다”고 했다. 이는 201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 투표율(48.6%)보다도 낮은 것이다.

박영선 후보 캠프 관계자도 “투표율이 낮을 것으로 예상되고, 야권 단일화로 사실상 1대1 구도로 치러지기 때문에 5% 포인트 안팎의 박빙 승부가 예상 된다”며 “결국 ‘집토끼’를 얼마나 많이 투표장으로 불러내느냐가 관건”이라고 했다. 특히 민주당은 지난 대선, 총선에서 여권의 핵심 지지층이었던 2030 세대가 LH 파문 등으로 대거 기권할 것으로 보고 그 몫을 조직표로 채운다는 계획이다.

● 서울시의원 109명 중 101명이 민주당

민주당은 야권과의 조직 대결에 대해서는 “전혀 밀리지 않을 것”이라고 자신하고 있다. 앞서 치러진 지난해 총선과 2018년 지방선거의 압승 때문이다. 현재 서울 지역 의원 49명 중 41명이 민주당 소속이고, 서울 25개 구(區) 중 서초구를 제외한 24곳을 민주당 구청장이 이끌고 있다. 여기에 ‘풀뿌리 조직’의 대명사인 시의원의 경우 전체 109명 중 101명이 민주당 의원이다. 국민의힘 시의원은 6명에 불과하다. 민주당 서울시당 관계자는 “가장 박빙이었던 2010년 서울시장 선거에서 1위와 2위 후보의 차이는 2만 6000여 표에 불과했다”며 “이번에도 비슷한 양상이 벌어질 수 있어 대대적인 홍보 캠페인을 벌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조직으론 한계가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여권의 관계자는 “선거는 조직과 바람이라고 하지만 바람이 일기 시작하면 조직은 도움이 될 순 있어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했다. 결국 차기 대선의 전초전으로 꼽히는 이번 서울시장 선거도 중도층의 표심이 승패를 가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수도권 지역의 한 여당 의원은 “현재 민주당이 수세에 몰린 것은 국민의힘이 잘해서가 아니라, 극성 지지층만 바라보는 민주당에 대한 반감이라는 점을 잊어선 안 된다”며 “자칫 지지층 결집에만 매달렸다가는 오히려 중도층의 외면을 받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강성휘 기자 yol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